철강도시 포항의 정체성 살린 창작공연이 펼쳐진다. 맏뫼골 놀이마당 한터울과 지역의 예술가들이 만나 들려주는 쇳소리, 퇴직한 노동자와 현장 노동자들이 들려주는 철을 만든 사람들의 이야기 `Story of atomic number 26, Fe`가 17~18일 저녁 7시 포항시청 대잠홀에서 첫 선을 보인다.Story of atomic number 26, Fe는 포항시 문화도시 조성사업 지역특화 프로그램 공모 선정작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살려낸 지역대표공연 브랜드 육성을 위해 올해 선정한 바 있다.이번 공연은 철강도시 포항의 정체성을 살린 작품으로 철도 레일, H빔 등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원재료들을 악기로 활용해 연주하며 설치미술, 영상 등을 곁들인 다양한 장르가 결합된 퓨전공연이다. 지난 2016년 맏뫼골 놀이마당 한터울 정기공연에서 철을 울려라라는 주제로 25분간 짧게 초연된 원소기호 26은 지역특화 프로그램 공모에 선정돼 철을 울려라는 주제에 철을 만든 사람들이라는 이야기를 결합해 단독 공연으로 무대를 꾸민다.국악의 전통장단중 하나인 세마치 장단이 대장간의 철을 두드리는 망치장단에서 만들어졌음에 착안해 각종 철강 제품들을 세마치장단을 기반으로 타악을 편성했다.여기에 설치미술가, 영상미술가, 무대연출이 결합한 다채로운 볼거리를 만들어 내고 있다.더불어 이번 공연에서는 철을 직접 만든 철강업계 퇴직자들의 지난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해 타악 공연과 함께 구성했다. 이와 함께 포항소년소녀합창단이 어우러진 노동자와의 합창 등 화려하고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김규형 감독은 "철광석은 1500도의 온도에서 비로소 그의 몸을 풀고 고체에서 액체로 흘러 넘치기 시작, 다시 식어 불순물을 없애고 순수한 철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또다른 형태로 재탄생하고 형태에 따른 다양한 소리를 내포한다"며 "철이 감추고 있던 그 소리를 찾아 리듬을 부여하여 철의 울림을 듣고자 하는 것은 물론 그 철을 만들었던 우주의 철공장에서부터 1500도의 열기 앞에서 철을 만들었던 철강 노동자의 이야기를 통해 철이 포항으로 왔던 이야를 풀어 내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원소기호 26은 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 2017 에 초청돼 오는 11월 베트남 호찌민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창작공연으로 2회에 걸쳐 해외에 선보일 예정이다. [경상매일신문=최보아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