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신도시의 높은 분양가격이 상권 조기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북도의회 조현일 의원(경산)은 16일 제291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도정질문 통해 “신도시 이전지의 토지 가격 상승과 높은 분양가격이 신도시 조기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특단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조 의원에 따르면 토지보상가는 평당 평균 10만2천 원이었지만 조성원가는 102만 원으로 10배 이상 뛰어 올랐다. 뿐만 아니라, 상업용지 예정가는 549만 원이지만 낙찰가는 918만 원으로 두 배 가깝게 상승했다. 또 특화상업용지의 예정가는 405만 원이지만 낙찰가는 683만 원으로 약1.7배 높게 분양됐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주택용지는 예정가가 150만 원인데 비해 실제 평균 낙찰가는 194만 원으로 130%나 높았다. 이처럼 땅값이 상승하면서 유관기관·단체의 신도시 이전을 주저하게 만드는 주 요인이라고 주장이다조 의원은 “높은 분양가격은 신도시 조기 조성 상권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어, 유관기관·단체의 신도시 이전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서 “신도시 분양가 전반에 대한 면밀히 검토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강구 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조 의원은 “신도시가 도청 소재지다운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정주 여건, 기반시설, 그리고 유관기관․단체 이전이 전제돼야 한다”면서 “특히, 공공적 성격을 띠는 유관기관·단체의 신도시 대거 이전은 사람들에게 신뢰감을 주고, 신도시 인구 유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면서 신도시가 행정복합 자족도시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경북 관련 유관기관·단체는 138개소(대구 소재 107개소)이며, 이중 신도시로 이전을 희망하는 대구 소재 기관·단체는 82개소(59%)에 머물고 있다. 이중 32개소(23%)는 올해 이전한다. 나머지 24개소는 2018년까지, 26개소는 2019년 이후로 예정되고 있다. 그러나 2019년 이후 이전을 계획한 유관기관과 단체의 실제 이전여부는 미지수다. 따라서 유관기관·단체의 조속한 신도시로의 이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