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만 경북도민의 숙원이었던 경상북도 신청사 개청식을 가진지 지난 10일로 꼭 1년을 맞았다. 신도시 조성과 청사이전은 지역균형발전의 새로운 토대라는 의미와 함께 경북도의 정체성 확립 차원에서 현재까지 성공적인 사업이라고 볼 수 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도청이전 1주년을 기념해 지난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기자브리핑을 할 예정이었지만 취소했다. 또한 신청사 관람객 70만 명 돌파기념 환영이벤트도 열지 않았다. 직원들과 갖기로 한 이벤트와 시루떡 자르기 기념행사도 하지 않았다. 일반인과 선수 1천300여 명이 참가해 도청과 신도시를 달리는 단축마라톤 행사도 연기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국정혼란과 탄핵정국 속에서 도청이전 1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해 취소했다고 밝혔다.특히 지난 10일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로 결정되면서 기념행사를 모두 취소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도청이 옮겨 오면서 경북을 축으로 한 허리경제권이 윤곽을 드러내고 교통, 문화,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몇 년 전만해도 허허벌판이었던 이 일대는 2011년부터 기반시설공사 등 개발이 본격 진행돼 신도시다운 면모를 갖춰 나가고 있는데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다.지난해 경북도청과 경북도의회, 경북교육청이 자리를 잡은데 이어 내년 초에 경북경찰청이 이전하게 되면 행정타운의 면모를 완전히 갖추게 될 전망이다.인구유입 또한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내년까지 아파트가 7천여 가구로 늘어나는 등 주거환경이 개선되고 사통팔달의 교통망 구축도 순조롭게 진행되는 점도 긍정적이다. 현재까지 신도시 지역을 포함한 인근 안동과 예천, 문경, 상주 등지로 이사한 도청공무원은 2월 현재 전체 91%의 직원이 신도시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신도시 인구가 4.3배가 늘었다. 특히 타 시도에서 전입자가 40%에 이르고 유입인구의 73%가 젊은 층이라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나 미흡한 교육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신도시에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가 각각 한 곳뿐인데다 고등학교가 없어 이주 공무원 자녀교육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이 내년 3월이면 신도시에 기숙형 고등학교가 개교 예정이라니 교육환경도 충족되리라 믿어진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