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으로 한국여행 상품의 전면 중단을 지시함에 따라 중국인 관광객 비준이 높은 대구경북 관광업계가 초비상이다.이에 따라 대구시와 경북도는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대구시는 중국전략추진본부(T/F)를 구성하기로 했다.또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을 겨냥한 다변화 마케팅 전략에 돌입하면서 동남아 관광객의 한국입국 시 비자면제를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경북도 역시 그동안 중국에 쏠렸던 관광유치 정책을 동남아, 일본, 대만, 홍콩 등으로 다변화하기로 했다.특히 11월에 열릴 호찌민-경주세계엑스포 2017을 계리로 베트남 관광객 유치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이번 회의는 올 들어 중국정부가 사드배치 보복조치의 일환으로 수도 베이징에 이어 중국 전역으로 한국관광 상품판매 전면 금지를 확대하면서 중국 교류사업과 팸투어, 관광 상품취소 등 관광업계 피해가 가시화 된데 따른 것이다.중국 산둥성 공무원과 여행업 관계자들의 문경방문 계획 취소가 대표적인 예이다. 경북도는 지난해 중국여행사인 산둥여유유한공사와 공동으로 산둥성 공무원의 경북농촌과 새마을 벤치마킹단을 유치했고 지금까지 13차례에 걸쳐 417명이 경북을 찾았다.올해도 중국 공무원과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이달 말 산둥성 여행업계를 대상으로 팸투어를 시행하려고 했지만 결국 불발되고 말았다. 산둥여유유한공사 측이 산둥성 공무원을 상대로한 경북벤치마킹 여행객 모집이 불확실하다며 사업연기를 요청해 왔기 때문이다.앞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대폭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구시가 공들이고 있는 의료관광객 유치에 영향을 받지 않을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김승수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중앙정부와도 긴밀한 공조체제를 구축해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으며 경북도 김장주 행정부지사 역시 당분간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앞으로 관광시장 다변화와 적극적인 국내 관광객 유치로 주변정세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경북관광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지난 한 해 대구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56만 명 중 중국인은 20만3천여 명으로 36%를 차지했으며 경북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59만7천 명으로 이들 중 29.3%인 17만5천여 명이 중국인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