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여인홍, aT)가 학교 급식비리 차단효과는 높이고 소규모 학교에 공급하는 영세업체의 수수료 부담은 낮출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그동안 학교급식관련 비리는 학교·업체 간 유착, 입찰담합, 품질·등급 속이기, 편법적인 수의계약, 부당한 지명경쟁계약 등 그 유형이 다양하며, 비리수법은 점점 지능적이고 다양해지고 있지만, 기존 계약 방식으로는 급식 정보 수집과 이력관리가 어려워 위반업체 적발자체가 쉽지 않았다.이에 aT는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이하 eaT시스템)의 불공정 위험업체 전수조사를 통해 비대면 입찰·계약 시스템으로서 서류 및 현장 심사를 거쳐 적정 자격을 보유한 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주문 시 식재료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이력추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납품업체·학교 정보, 식재료 단가, 계약 방법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위장업체를 점검하는 등 공정거래 여부를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됐다.또한 eaT시스템의 ‘지능형 입찰비리 관제시스템’은 입찰담합 등 비리가 의심되는 정보를 모니터링 해 불공정지수를 4단계로 자동 산정하며, aT는 불공정지수 위험 단계에 이른 130여개 업체 정보를 교육부·식약처·경찰청 등과 공유하여, 순차적으로 업체 전수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aT 관계자는 “전자조달을 하면 최저가 입찰로 인해 가격경쟁을 벌여 품질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며 “실제로는 급식 비리로 인한 품질 저하 문제가 더 크다 eaT시스템 계약의 90% 이상이 제한적 최저가 낙찰 제 방식으로 적정 가격을 보장하고 있어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경상매일신문=이율동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