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인의 권익보호 및 기업지원활동촉진을 위한 자리가 범정부차원에서 마련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달 3일 황교안 권한대행이 주재한 ‘사회적 약자 보호 관계 장관회의’ 후속 조치로 최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사회적기업의 고충과 애로를 청취하는 현장회의를 가졌다사회적기업인의 권익보호 및 기업지원활동촉진을 위해 열린 이날 현장회의에는 사회적기업 대표 40여명이 참여하여 기업 경영 과정에서 겪는 고충과 애로를 밝혔다.또한 이번 회의에서는 기관 간 협업하는 정부3.0의 취지에 따라 중소기업청, 사회적기업진흥원, 중소기업진흥공단, 여성가족부, 고용노동청 등 15개 유관기관 및 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전문 상담이 진행됐다.더불어 사회적 기업에 대한 각종 지원 정책을 설명하고 정책의 개선 방향을 집중토론 하는 자리도 마련됐다.국민권익위는 이날 제기된 사회적기업인의 애로사항에 대해 해결 가능한 부분은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현장에서 바로 해결하고 그 외의 민원사항은 기업 고충민원으로 접수하여 최단 기일 내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기업의 발목을 잡는 불합리한 규제에 대해서는 소관 부처에 제도개선을 권고할 계획이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국민권익위는 기업 옴부즈만 현장회의를 매월 개최하고 있다”며 “회의 개최를 희망하는 단체는 국민권익위로 문의하면 된다”고 밝혔다. 사회적기업이란 사회적기업 육성법에 근거하여 장애인, 고령자, 저 소득자, 성매매피해자, 탈북주민, 가정폭력피해자, 결혼이민자 등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서 전국적으로 1,075개 기업이 등록되어 있다.국민권익위는 ‘기업 옴부즈만 현장회의’를 통해 현장 속으로 직접 찾아가 기업 애로를 청취하고 해결함으로써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4년도부터 매월 실시하고 있다.한편 포항시의 지원으로 창립한 포항시 사회적기업협의회는 현재 56개사 650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올해 사회적 기업육성을 위한 지역특화사업을 통해 지역의 소상 권 활성화와 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는 방침이다.[경상매일신문=이율동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