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5년 외무부 정무국은 ‘독도문제개론’을 발행했는데 독도순라반 파견 이유, 구성, 출발, 헤쿠라호 발견과 임검을 위한 승선 과정이 상세히 공개됐다. 또한 순라반 최헌식 경사의 임검 내용, 헤쿠라호 퇴각 과정, 이튿날 일본 외무성의 항의 각서, 주일대표부의 항의 각서 등도 수록했다. 이 사건을 다룬 일본 잡지 아사히구라후와 깅쿠는 사건이 있은 지 2~4개월 만에 활자화했지만 어디에서도 독도의용수비대가 상주했다는 기록은 없다. 독도에서 고기를 잡던 우리 어부들과 우리 경찰들만 등장하고 있다.헤쿠라 호의 주요 증인 최헌식 경사는 이후 울릉수협장 등을 지내다가 95살이 되던 지난 해 작고했다. 고인은 당시 상황을 A씨에게 상세히 증언했으며 그 해 독도에는 분명히 독도의용수비대가 없었다는 녹취록도 A씨가 갖고 있다. 앞서 언급했지만 1953년 6월 27일 해상보안청이 독도에 상륙해 현지 조사를 실시하고 나무로 만든 푯말과 게시판을 세웠다. 푯말 설치는 독도에서 고기잡던 우리 어민 정원준 외 5명이 목격했고, 우리 외무부의 ‘독도문제개론’에는 정원준의 진술을 기초로 일본 침범 상황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이날 오전 8시경 일본 함정 2척이 독도에 도착했고 약 30여 명은 권총, 사진기 등을 휴대했다. 푯말에는 島根縣 隱岐郡 五箇村 竹島(도근현 은기군 오개촌 죽도), 게시판에는 일본어로 ‘일본 국민 및 정당한 수속을 거친 외국인 이외는 일본 정부의 허가 없이 영해(도서 연안 3리) 내에 들어감을 금함’이라고 쓰여져 있었다. 또 이날 한국어를 잘하는 일본인이 우리 어민들어게 독도는 일본의 영토이니 앞으로 독도에 침범하면 일본 경찰에 강제로 끌고 가겠다고 협박하기도 했다.만약 이때 독도의용수비대가 상주하고 있었다면 일본 관헌 30여 명이 상륙하고 어로 중인 우리 어민을 협박하는 사건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 분명히 없었을 뿐 아니라 주둔하고 있었다면 반드시 충돌이 있었을 것이다. 또 일본은 이에 관한 충돌 상황을 분명히 기록했을 것이지만 이 해에 쓰여진 모든 일본의 독도기록에는 수비대의 흔적은 찾아 볼 수 없다.1953년 당시 독도의용수비대가 독도에 없었다는 사실은 우리 기록에도 나타나고 있다.일본의 독도 상륙이 잦아지자 1953년 7월 8일 국회 제19차 본회의에서 ‘한국산악회를 포함한 강력한 현지조사단을 독도에 파견함에 원조를 다해 한국인 어민의 출로를 충분히 보호하고 금후 사태 수습에 적극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의결한 국회속기록과 독도 침해사건에 관한 대정부 건의안(1953.7.8) 등이 남아 있다.이에 울릉도독도학술조사단은 이 해 10월 15일 독도를 찾아 1박을 하고 16일 울릉도로 돌아왔다. 이때 상황은 조선일보 10월 19일 자 기사 ‘독도 답사에 성공, 산악회학술조사단 18일 귀경’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이때 학술조사단은 일본이 세운 푯말을 제거하고 동도 해안가에 우리 영토 표석을 세우고 돌아왔다. 이때 기록요원으로 참여했던 김한용 한국사진작가협회 자문위원은 2003년 4월 3일부터 당시 촬영한 사진전을 조선일보 정동별관에서 개최했고, 하룻밤을 묵는 동안 독도는 ‘무주공산’이었다고 증언했다. 독도의용수비대는 당시 독도에 없었다는 직접적인 증언이다.일본 관헌들의 독도 상륙은 또 다시 시작됐다.울릉도독도학술조사단이 영토표석을 설치하고 떠난 지 10여 일 후인 10월 23일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 나가라호와 노시로호가 독도에 상륙해 우리가 설치한 영토 표식을 철거하고 일본 영토라는 푯말을 다시 설치했다는 것이 일본 기록에 남아 있다.이 모든 정황을 볼때 1953년에는 독도의용수비대가 분명히 독도에 주둔하지 않은 것으로 확신된다.그렇다면 수비대의 독도주둔은 언제부터 였을까. 지금까지 공식화된 1953년이 아니라 그 1년후인 1954년이다. 여기에 대한 정황을 설명해 보겠다.1945년 광복 후 독도에서 조업하는 울릉도, 강원도 어민들에게 당시 고속함정과 순시선을 갖고 있던 일본의 불법침범은 고기잡이와 수산물 채취에 큰 위협이 됐다.또한 우리 정부는 광복 후 사회불안에 이어 전쟁과 함께 변변찮은 경비정 조차 없는 해양경비력으로 인해 독도까지 신경쓸 여력이 없었다 .이에 1954년 4월 초 울릉도 주민이자 지역 유지였던 고 이정윤 씨는 일본인의 침략으로 어민들의 생계가 파탄상태에 있어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독도를 방위하겠다며 내무부에 지원을 요청했다.그는 독도와 울릉도에 등대설치, 무선시설이 있는 감시초소 설치, 해안경비정을 보급해달라며 진정했다. 이 사실은 1954년 4월3일 경향신문이 ‘독도 보호해주오. 울릉도민 당국에 진정’이란 기사로 이 내용을 보도했다.이어 1954년 4월 25일 울릉군민들이 울릉읍 도동 2리에 있는 울릉중학교 운동장에서 궐기대회를 열어 독도방위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청장년으로 구성된 독도자위대를 조직하기로 결의했다. 일본의 관헌과 직접 맞서야 하는 독도자위대는 총을 들고 전투를 할 수 있어야 했기에 제대군인으로 구성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독도방위대책위원회가 즉시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것이 5월 1외무부를 통해 알려졌다. 동아일보는 이 내용을 1954년 5월2일자 `독도를 사수하자, 울릉도민회서 자위대 결성 결의`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이에 5월 3일 당시 백두진 국무총리는 이는 훌륭한 조직이라며 내무부 장관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지시한 것을 조선일보가 5월 6일 ‘훌륭한 조직이다, 백총리 독도자위대에 협조지시’라고 보도했다.그러나 이후 독도방위대 창설을 주도했던 이정윤 씨는 개인 사정으로 사퇴했고, 상사로 제대했던 상이용사 홍순칠이 뒤를 이어 책임자가 됐다는 것이 사실적으로 확인됐다. 울릉군청에서는 이 조직을 위해 구휼미로 식량을 지원하고, 울릉경찰서는 무기를 지원한 것이 당시 울릉경찰서 경찰관 출신으로 구성된 독도수호동지회 김산리 회장, 故 최헌식 경사 등의 증언이 녹취록으로 남아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