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사드배치와 관련해 우리 입장을 중국에 일관되게 전달하는 한편 지자체와 기업과 협력해 관련 산업의 저변과 시장구조 등 체질을 개선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이러한 자체 노력 없이 갈팡질팡할 경우 중국의 노림수에 놀아날 수밖에 없다. 우리 스스로가 차분하고 슬기롭게 대응하면서 전화위복의 길을 찾는다면 중국의 무분별하고 야비한 보복이 자신들에게도 이롭지 못함을 깨닫게 될 것이다.대구시와 경북도가 중국의 한국여행 상품판매의 전면 중단에 맞서 아세안 관광객 입국비자 면제 등 대책을 정부에 건의했다. 사드배치를 둘러싼 노골적인 보복조치로 중국 관광객 비중이 높은 지역 관광업계의 타격이 예상되자 마케팅 다변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관광업계와 지자체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와 홍콩, 대만, 일본 등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사드배치 결정 이후 한국을 겨냥한 중국의 경제제재는 도를 넘어섰다. 사드부지 교환 당사자인 롯데에 대한 제재는 더욱 노골적이다. 중국정부는 중국 내 롯데마트에 대한 영업정지 명령이 날마다 계속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현지 롯데마트 영업점은 모두 99개이다. 또한 한국화장품과 식품 등 소비재 수입을 불허하거나 국내 항공사의 정기편 신규취항과 증편계획도 전면 거부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이는 국제규범에 어긋나는 행위일 뿐 아니라 중국체제의 소인배적인 후진성을 스스로 드러낸 꼴이다. 이렇게 중국의 폐쇄적인 무역환경은 어제 오늘의 얘기는 아니다.최근 발표된 중국의 무역기능지수(ETI)는 136개국 중 61위에 머물고 있다. 싱가포르가 가장 높고 일본이 16위, 미국이 22위, 한국이 27위 등의 순위다. 당분간 지역 업계의 중국교류 사업이나 팸투어, 의료관광 등에 적지 않은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수출 등 지역 제조업계의 피해도 예외는 아니다. 그렇지만 유커에 집중된 국내관광이 한층 성숙해지는데 좋은 기회이자 전화위복의 계기로 만들어 간다면 큰 수확으로 볼 수도 있다. 지금까지 한국과 중국의 경제는 뗄 수 없는 협조체제로 얽혀 있는 관계로 중국이 사드보복으로 한국경제를 옥죄려 한다면 중국경제 역시 타격받을 것이 뻔하다. 그런 관계로 사드보복이 오래 가지는 못할 것이란 전문가들의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