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에 따르면 도청이 대구에서 안동으로 옮긴 뒤 직원들이 세미나 또는 간담회에 참석하기보다는 인터넷 검색에 의존하고 있으며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청취하기보다는 공무원끼리 모임을 갖는 것이 일상화 됐다는 것이다.거기에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새로운 정책발굴에 소극적이고 정치권 동향에만 촉각을 곤두세우는 경향이 많아졌다는 것이다.이에 김관용 경북지사는 공무원은 다양한 현장을 찾아가 의견을 듣고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면서 발도 뛰는 행정으로 도민의 애로사항을 듣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렇게 경북도청 이전과 함께 청탁금지법 시행, 국정혼란 등으로 경북도 공무원들의 행정이 소극적으로 변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경북도가 민생현장을 찾아 적극 소통하기로 했다는 것이다.이에 따라 경북도는 한 달에 한번 민생, 실용, 현장 속으로 들어가 민원을 해결하고 정책을 발굴하기로 했다. 부서별, 소그룹별로 매달 한차례 민생현장을 찾아 애로사항을 파악해 해결하기로 한 것이다.현장해결이 어려운 과제는 전문가와 함께 현장의견을 반영해 개선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사업장, 기업체, 복지시설 등을 방문해 정책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박람회, 세미나 등에도 적극 참여해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다는 것이다.매월 첫 간부회의에서 부서별 현장방문 계획을 점검하고 보고서에는 전문가와 현장에서 나온 의견을 담도록 했다. 현장에서 얻은 아이디어 등을 정책에 반영하고 부서별로 찾아가는 민생해결 팀을 구성한다는 구상도 밝혔다.이로써 경북도는 다양한 현장체험으로 도정 사각지대를 없애고 움츠러든 공직분위기에 활력을 불어 넣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한 정책전문가는 평소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정책자문을 하러 오던 도청직원들의 발길이 뜸해졌다면서 행정환경 변화와 상관없이 공무원들이 적극적으로 현장을 찾아 관계자의 의견을 듣는 것이 도정발전과 도민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한편 대구경북연구원은 지난 3일 도청에서 2017년 제1차 미래전략세미나를 열고 도청이전 1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경북도가 당면한 과제와 대응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