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은 2016년산 쌀 변동직불금 지급규모가 45억8천만 원으로 2005년 쌀직불금사업 시행 이후 사상 `최대 규모`라고 27일 밝혔다.변동직불금은 벼 재배 농업인에게만 지급하는 직접지불금으로써 3월초경 농협울진군지부 농정지원단을 통해 농가에 지급할 계획이다. 지원단가는 211만 원/ha(3만3천499원/80kg), 지급상한 면적은 농업인 30ha, 농업법인 50ha, 들녘별경영체 운영법인은 400ha이다.2016년산 쌀변동직불금 읍·면별 지원규모를 보면 평해읍 9억800만 원으로 벼 재배농가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온정면 6억8천만 원, 기성면 5억9천500만 원, 근남면 5억7천400만 원, 울진읍 5억3천200만 원 순이다.변동직불금 산출의 지표가 되는 수확기 산지 전국평균 쌀값은12만9천711원/80kg으로 30년전 과 비슷한 수준이며, 전년 동기(15만659원)대비 13.9% 급락했다.산지 쌀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경북도 쌀 생산농가의 80kg당 조수입(쌀 고정.변동직불금 + 특별지원+산지쌀가격)은 18만3천844원으로 정부의 쌀 목표가격(18만8천 원)대비 97.8%에 이르며, 전국평균 가격(17만8천661원)보다 5천183원 높다.임광원 울진군수는 “그동안 우리나라의 직불금 제도는 농업인의 소득보전을위해 쌀에 편중돼 모든 정책이 추진돼 온 측면이 강하다”며 “앞으로는 농업인의 소득보전, 농업의 구조개선 촉진, 공익적 기능 제고의 3박자가 갖춰진 직불사업으로 재편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구현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현행 쌀소득보전직불제도는 2004년에 진행된 쌀협상과 DDA(도하개발어젠다) 농업협상에 대응해 기존 수매제 폐지 대신 쌀 생산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해 2005년 도입되어 시행하고 있다. [경상매일신문=장부중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