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중앙부처의 신년 대통령권한대행 업무보고를 토대로 도 차원의 대응 과제 66건을 선정하고, 과제별로 대응 전략과 계획을 수립하는 등 신년도정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도는 25일 실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김장주 행정부지사 주재로 ‘2017년 중앙부처 업무보고’에 따른 발 빠른 후속조치를 위해 대응전략 회의를 가졌다.이날 회의에서는 양질의 일자리 확충,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 대비, 저출산 극복 등 18건의 과제에 대해 정부의 중장기 계획에 경북이 중점 투자하고 있는 사업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또 신경주역세권 ‘KTX지역경제 거점형 투자선도지구’, ‘곤충종자 보급센터’ 신규 조성, 낙후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개발사업 등 6건의 정부 공모사업 유치에 대한 의견도 나눴다. 아울러 농생명산업 육성과 R&D 강화, 新통상로드맵 및 유턴기업 지원, 중소·중견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청탁금지법 피해 최소화 등 42건의 정부정책들이 경북지역에서 우선적으로 지원 될 수 있도록 총력을 쏟기로 중지를 모았다. 한편 도는 올해 경북청년 복지수당, 경북청년 훈련수당 등 경북형 청년일자리 창출 시책과 청년내일채움 공제 등 정부의 청년일자리 정책과 연계해 도 차원의 지원 방안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또 전 세계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자체 전략 수립은 물론, 규제프리존 연계 스마트자동차 관련 원천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도 추진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나간다. 이와는 별도로 청년취업 미래첨단기술 인력양성사업도 추진해 신산업 분야 기술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으로 청년일자리 창출을 구체화 할 예정이다. 저출산·고령화·지방소멸에 대응을 위해 (가칭)지역인구정책팀을 신설, 통합적 전략을 수립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선다. 도는 이런 노력들을 통해 발굴된 분야별 핵심 전략과제를 선별해 국책연구원, 교수 등 전문가 자문을 통해 대선공약으로 발굴하는 등 다각적으로 대처해 나갈 방침이다. 김장주 행정부지사는 “정부정책을 면밀히 검토해 정부부처 계획에 중장기 반영 계획과 당장 시행할 단기계획으로 나눠 대응하는 한편, 정부공모에는 적극적으로 응모할 것”을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