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공을 들이고 있는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23일 경북도에 따르면 올해 첫 번째 가진 정부 부처별 주요 업무보고회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원전 내진성능 보강과 내진능력 정밀평가, 동남권 지진 발생지역에 대한 정밀 지질조사를 실시한다. 또 산업통상자원부는 가동 원전 핵심설비의 내진성능을 0.2g에서 0.3g(규모 7.0)으로 보강하고, 신규 건설원전에 대해서는 0.5g(규모 7.4)로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이는 지난해 9.12지진으로 동해안지역에 밀집돼 있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불식시키고, 지진 발생 시에도 국가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로 판단된다.이에 따라 경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동해안 원전 집적지,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이 탄력 받을 전망이다. 경북도에는 현재 25기 2천312만kw 대비 46%인 12기 1천68만kw가 운영 중이다.지역별로는 경주의 경우 1983년 월성1호기 가동을 시작으로 현재 6기가 가동하고 있다. 울진은 1989년 한울1호기를 시작으로 6호기가 운영 중이며, 신한울 1,2호기 건설 공사가 굉음을 울리고 있다. 영덕은 산업부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천지원전 1,2호기 건설을 확정하고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계획이다. 도는 이런 원자력 발전시설을 바탕으로 2012년부터 2028년까지 13조 5천억 원을 투자해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원전건설에 따른 직접적인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우선 기본지원사업, 사업자 지원사업 등이 부족한 지자체 곳간을 채우는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경주시의 경우 2015년 기준 지방세 860억 원을 거뒀다. 울진군도 899억 원에 이른다. 특히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주민 채용할당제 실시에 따라 고용효과도 톡톡하다. 2015년 월성본부의 경우 근무자 1천640명 중 165명(10%), 한울본부의 경우 2천78명 중 306명(14.7%)이 근무하고 있다.인구증가도 뚜렷하다.원전지역을 중심으로 4개 군지역(울진, 기장, 울주, 영광)의 인구변동 추이를 보면 2005년 37만2천664명에서 2015년 48만674명으로 연평균 2.9% 증가했다. 이에 반해 비원전지역의 인구는 2005년 441만6천669명에서 2015년 393만1천740명으로 연평균 1.1% 줄어들었다. 권영길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우리 경북은 한국전력기술(설계), 한수원(건설 운영), 한전KPS(서비스), 환경공단(폐기물처분) 등이 위치해 국내 유일의 원자력산업 전주기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이러한 국내 원자력 인프라를 바탕으로 미래 원자력 신산업을 지역에 유치하고 연관 산업을 집적화해 동해안지역을 원자력산업의 메카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