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여파가 예사롭지 않다. 이로 인해 살처분된 가금류 마릿수가 3천만 마리에 육박하고 있다. 역대 최악의 피해를 가져오고 있는 가운데 경북지역이 AI 사태의 새로운 뇌관이 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의심신고는 최근 한주 동안 많이 증가하지 않고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야생조류 폐사체가 아닌 경북지역 축산농가에서 발생할 경우 산란업계 기반이 붕괴되지나 않을까 근심어린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일 현재 최초 의심신고 이후 49일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살처분된 가금류는 총 2천998만여 마리로 3천만 마리에 육박하고 있다. 이 수치는 국내 전체 가금류 사육규모인 1억6천525만여 마리의 18%를 웃도는 수준이다.지난번 피해가 가장 컸던 2014~15년의 경우 517일간 1천937만여 마리가 살처분 되었던 것을 고려하면 이번 AI사태는 최단기간 내 최악의 피해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다.특히 알을 낳는 닭인 산란계의 피해가 가장 심각하다. 전체 산란계 사육규모의 32.1%에 해당하는 2천245만여 마리가 현재까지 살처분 됐다.번식용 닭인 산란종계의 경우 전체 사육규모의 절반 가까이에 해당하는 41만여 마리가 살처분 됐다. 다만 새롭게 발생하는 의심신고가 일주일 가까이 크게 늘지 않았다는 점은 불행 중 다행이라 여겨진다.지난해 12월 27일부터 신년도 1월 2일까지 일주일 동안 모두 7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AI가 한창 확산될 때 1일 신고건수가 10~14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소강상태에 들었다고 할 수 있다.문제는 경북지역 축산농가의 발생여부다. 야생조류가 아닌 농가에서 발생할 경우 AI사태는 걷잡을 수 없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경북의 경우 야생조류에서는 AI 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됐지만 농가 발생사례는 지난 2일 기준 단 한건도 없었다. 농가에서 발생할 경우 산란계 밀집사육 지역인 경북의 AI사태의 새로운 뇌관이 되어 국내 산란업계는 초토화 될 것이라고 당국은 우려하는 바 크다.이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 등 방역당국은 경북도내 AI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해 소독 등을 철저히 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