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9일 국회 탄핵표결에 앞서 `4월 퇴진` 발표를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4월 퇴진`을 밝힐 경우 혼란 정국이 우려된다.박 대통령의 `4월 퇴진` 발표 고심과 관련,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은 5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 출석, 박 대통령의 하야 결단 시점을 묻는 질문에 "심사숙고하고 계시고 그런 과정에서 늦어졌지만 곧 결단을 내리실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여권에선 박 대통령이 9일 탄핵표결에 앞서 `4차 대국민담화`를 통해 새누리당 지도부와 친박(親박근혜)에서 주장하는 `4월 퇴진, 6월 대선`을 언급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탄핵까지 남은 기간이 6~8일밖에 없어 박 대통령이 결단만 있다면 곧바로 `4차 대국민담화` 등이 열릴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이 같은 관측은 지난달 26일 촛불집회 참가자 수가 195만 명을 기록한데 이어 지난 3일엔 232만 명을 넘어서는 등 연이어 헌정사상 최고기록을 갈아 치우는 `격앙된 민심`에 자신감이 흔들리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지난달 29일 제3차 대국민담화를 통해 `여야 합의에 의한 조기 퇴진`을 밝힌 것도 이 같은 상황변화가 배경이 된 것이라는 전언이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4월 퇴진`을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는 당초 입장에서 한발 물러나 `퇴진 시점` 명시 등 대응 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분위기다. 그러나 청와대 측은 "박 대통령은 모든 방안을 고심 중"이라며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것은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예측대로 박 대통령이 `4차 대국민담화` 를 열어 퇴진시기를 못 박을 경우, 야당과 새누리당 비주류측의 탄핵 추진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정국 혼란이 우려된다.비주류로 구성된 새누리당의 비상시국위원회가 `대통령의 입장 표명 여부와 관계없이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탄핵 표결에 동참한다`는 입장을 공식화했음에도 온건파 성향의 일부 비주류 의원은 박 대통령이 오는 9일 본회의 전까지 구체적인 퇴진 시점을 밝히면 탄핵은 불필요하다는 반론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일부 의원은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 내용에 따라 탄핵안에 반대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가결정족수(200명)를 채우는 게 간단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