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에 대한 북한의 인식도 우리처럼 상당한 애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해양연맹이 22일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독도 영유권 수호를 위한 세미나`에서 북한법 전문가인 한명섭 변호사는 "북한도 영토에 대한 인식은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한 변호사는 이날 `북한의 독도 영유권 인식과 연구`라는 주제발표에서 우리나라는 헌법에서 `대한민국의 영토를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고 명시한 반면 북한의 헌법에는 이에 상응하는 영토조항은 없다. 하지만 `북반부에서 인민정권을 강화하고… (중략) 조국통일을 실현하기 위하여 투쟁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한반도 전체가 북한의 영토임을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독도를 오래전부터 `조선의 섬`. `조선민족의 신령한 영토`라고 표현하고 있다.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해선 조선중앙통신 논평 등을 통해 강력히 규탄하고, 독도 영유권 문제에 관한 학문적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북한의 2014년 개편 이전 고등중학교(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보면 2학년 `조선동해`와 4학년 `동남지방`단원에 독도 관련 내용이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북한은 독도가 조선이 대대로 영유해온 한반도 고유 영토임을 분명하게 밝혔다.
노동신문도 한일수교(1965년 6월 22일) 직전인 그해 2월 23일 독도 관련 기사를 처음 냈으며 1960년대 19건, 1970~1990년 11건, 2000년대 130건, 2010~2013년 17건의 기사를 실었다.
기사 내용은 `독도 문제, 남조선에 대한 일제의 영토적 야망`, `독도는 역사적으로 우리나라 영토이다` 등 일본의 독도침탈 야욕을 비난하는 것이 주를 이뤘다.
한 변호사는 "북한의 독도에 대한 관심은 2004년에 `조선의 섬 독도`라는 이름으로 2종의 독도 우표를 발행한 데서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북한은 2010년 8월 20일에 그간의 연구성과를 모아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에서 `독도는 조선민족의 신성한 령토`라는 단행본도 발간했다.
293쪽에 이르는 이 책의 집필진은 16명에 이르며, `일본이 독도를 굳이 자기나라 섬이라고 우기는 조건에서 우리는 그 부당성과 비법성을 전면적으로 까밝히지 않을 수 없다`라고 발간 목적을 밝혔다.
이 책에서 `울릉도에 남아있는 고대 시기 우리 선조들의 고유한 무덤인 고인돌들은 울릉도와 독도가 고대로부터 우리 땅이라는 것을 입증해 주고 있다`고 못 박았다.
고대 부여사람들이 울릉도와 독도를 활동무대로 이용하며 어로 활동을 해왔고, 고구려사람들도 울릉도와 독도를 동해를 개척하는 활동무대로 이용했다. 또 신라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할 때 그곳 사람들은 신라인이 아니면서 언어가 통하는 동족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고구려사람들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었다고 기술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울릉도 공도 정책, 19세기 후반 독도에 대한 주권행사, 독도 명칭의 유래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한 변호사는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남북의 전문가들이 공동 학술대회를 열고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 볼 만하다"`고 했다. [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