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칠레 FTA이후 포도의 대표 품종인 캠벨얼리는 크게 감소하고 유럽종 품종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4일 경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경북의 대표적인 포도 주산지인 김천과 경산을 비롯한 영동, 옥천, 거창 등 전국 11개 시·군 175개 농가를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와 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 포도의 대표 품종인 캠벨얼리의 재배면적이 70.5%에서 47.9%로 22.6% 감소한 반면, 유럽 품종은 5.8% 늘어났다. 이번 조사는 2004년 한·칠레 FTA에 따른 경북지역 시설포도농가의 경쟁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뤄졌다. 조사에 따르면 2004년 시설포도 농가의 품종 구성은 캠벨얼리 70.5%, 거봉 18.5%, 피오네 1.2%, 델라웨어 4.7%, 블랙올림피아 2.3%, 자옥 0.2%, 기타 2.6% 였다. 그러나 올해 들어 캠벨얼리(47.9%)과 거봉(15.6%)은 줄고 델라웨어(6.5%)와 자옥(14.7%)은 늘어나면서 포도 재배 품종의 변화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샤인머스켓, 알렉산드리아, 썸머블랙, 흑발라드 등 유럽종 품종이 5.8% 증가한 부분이다. 이는 ‘단맛’, ‘껍질째 먹는’, ‘대과’ 등 소비자 기호가 변화하면서 유럽종 품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종 품종을 재배하고 있는 농가 역시 활용 만족도가 5점 만점에 3.6점으로 기준점수 3.3점보다 높았다. 활용 만족도는 재배편리성, 내병성, 비용절감, 노동력 절감, 판매가격 상승, 저장성, 판매용이성, 소비자선호 등에 대해 조사로 이뤄졌다. 유럽종 품종을 재배하는 농가들은 소비선호성, 판매가격 상승, 판매용이성은 만족했으나 내병성, 저장성, 비용절감, 노동력절감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특히, 유럽종 품종 재배 농가의 수익성도 판매가격 10.9%, 소득 14.8% 늘어나는 등 농가의 선호도는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박소득 경북도농업기술원장은 “최근 포도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변화함에 따라 유럽종 등 다양한 품종 개발·보급에 이번 자료를 적극 반영해 FTA 등으로 어려움에 겪고 있는 재배농가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