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의 염치없는 방만경영이 또 도마 위에 올랐다.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어기구(더불어민주당, 충남 당진시) 의원은 4일 한국가스공사 국정감사에서, 가스공사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구노력이 절실함에도 개혁의지가 전혀 보이지 않는 점을 질타했다.한국가스공사는 지난 2008년부터 현재까지 해외자원개발 관련 확정투자손실액은 1억 5백만 달러(1천159억 원에 달한다.이처럼 무리한 자원개발 확대로 현재 가스공사의 총부채는 32조 원에 이르고, 부채율은 320%에 달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구노력과 경영정상화 대책이 절실하다.하지만 기관장의 기본급은 지난 2011년 1억1천331만 원에서 2016년 1억 3천82만 원으로 2천여만 원이나 상승했고, 상임감사는 2011년 9천65만 원에서 2016년 1억 466만 원, 상임이사의 기본급은 2011년 9천23만 원에서 2016년 1억 466만 원으로 1천5백여만 원 상승했다. 특히, 2014년은 기본급을 동결시켰다가 2015년에 전년도 동결분까지 두 배를 인상해 ‘눈 가리고 아웅식’ 의 꼼수를 부린 것으로 드러나 질타가 쏟아졌다.직원들의 평균급여도 지난 2011년 7천736만 원에서 2016년 8천478만 원으로 750여만 원 상승했다.게다가 실적에 따라 받는 급여항목 실적수당 집행 총액은 2010년 198억여 원에서 2015년 329억여 원으로 무려 66%나 증가했다. 또한 기관의 의지에 따라 충분히 줄일 수 있는 정규직직원 비급여성 복리후생비도 지난 2010년 45억 3천900만 원에서 2015년 52억 9천300만 원으로 17% 증가했다.가스공사는 올해 기준 한국마사회, 한국감정원 등을 제치고 공기업 30군데 중 정규직 보수액 1위의 신의직장임을 증명했다.지난 2011년 기준으로는 가스공사가 공기업 30군데 중 10위였고, 타 기관들은 연봉을 거의 늘리지 않거나 오히려 줄인 기관도 14곳이나 된다. 반면, 가스공사는 급격히 연봉을 올려 불과 5년 만에 10계단 상승해 전체 1위를 차지했다.이에 대해 어기구 의원은 “최근 타 공공기관, 공기업들은 방만경영 비판에 대한 자구적인 노력으로 과다한 복지혜택을 축소하는 등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데, 가스공사는 과연 개혁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 공공기관의 부실운영에 따른 손실은 국민경제 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가스공사는 국민정서에 반하는 방만경영을 중단하고 손실된 금액을 복구하기 위해 뼈를 깎는 자구책을 강구해야한다”고 질타했다. [경상매일신문=강동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