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9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국회의원ㆍ당협위원장 연석회의’를 열어 당 쇄신 방안에 대한 격론을 벌인다.
이번 쇄신 연찬회는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로 당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가운데 열리는 것으로 현 지도체제 존속 여부와 박근혜 역할론ㆍ공천개혁ㆍ정책쇄신ㆍ당명 개정 등을 놓고 난상토론이 벌어질 전망이다.
특히 쇄신풍이 예상보다 거셀 경우 현 지도체제가 흔들리면서 당이 단순히 ‘리모델링’이 아니라 ‘재건축’ 수준의 대대적인 변화의 길로 내몰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주목된다.
아울러 쇄신의 방향과 폭을 둘러싼 논의 과정에서 계파, 세력간 갈등이 그대로 노출되면서 당은 물론 여권 전체가 자칫 심각한 내홍 국면으로 빠져들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먼저 연찬회에서 원내외 참석자들은 `홍준표 체제’를 놓고 첨예한 공방을 벌일 가능성이 크다.
현재 일부 쇄신파가 당의 근본적 변화를 위해 지도부 교체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 반면, 당 주류인 친박(친박근혜)계는 대안 부재 등을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간 ‘지도부 사퇴론’을 제기해온 친이(친이명박) 성향의 원희룡 최고위원은 이날 연찬회에서도 같은 입장을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고, 쇄신파 정두언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모든 쇄신은 홍준표 체제가 막을 내린 다음에 가능한 얘기”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친박(친박근혜)계 주성영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 현재는 인적쇄신 보다 정책전환의 문제가 우선”이라고 말했고, 친박 핵심 의원도 “지도부 교체는 대안부재론 때문에 이미 끝난 얘기 아니냐”고 가세했다.
쇄신의 본질인 공천 문제를 놓고도 격한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원희룡 남경필 최고위원 등은 “지도부나 특정세력이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한다”며 ‘지도부-공천권 분리’ 필요성을 거듭 주장했으나 홍준표 대표의 한 측근은 “당헌당규를 무시할 수도 없고, 공천에 있어 대표와 다른 최고위원들을 동일시할 수도 없는 것 아니냐”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당내 각 계파와 세력은 ‘박근혜 역할론’을 놓고도 설전을 벌일 것으로 알려졌다.
쇄신파 일각에서 현 체제로는 당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동할 수 없는 만큼 박근혜 전 대표가 직접 당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으나 박 전 대표 본인은 현 시점에서의 정치쇄신은 명분은 물론 순서와 시기 면에서도 부적절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이밖에 한나라당이 ‘부자정당’ㆍ ‘특권정당’의 이미지를 벗기 위해 민생ㆍ복지예산을 대폭 확충키로 하는 등 복지정책의 방향을 좌로 한 클릭 조정한 가운데 전반적인 정책기조와 함께 부자증세 방안인 `버핏세’ 등 일부 정책을 놓고는 찬반 논란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