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남해에서 15년 만에 콜레라 환자가 발생하면서 경북 동해안까지 그 여파가 퍼졌다. 경남 거제 등에서 회를 먹은 뒤 콜레라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알려진 탓이다.경북 동해안에선 콜레라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들 어시장과 횟집이 즐비한 상황에서 악영향을 피해갈 수 없었다.콜레라는 ‘콜레라균’(Vibrio cholerae)에 감염될 때 나타는 전염성 감염 질환이다. 급성 설사가 유발돼 중증의 탈수가 빠르게 진행되고, 심각하면 사망할 수도 있어 ‘후진국 병’이라고 하지만 시민들의 불안감은 당연하다.이 불안감은 어시장, 횟집 등으로 향하는 발길을 뚝 끊어버렸고, 시장 상인들과 업주들은 먹고 가라는 말조차 쉽게 할 수 없는 실정으로 내몰리고 있다.포항 죽도어시장은 추석을 앞두고 그나마 제수 용품 마련을 위해 방문하는 손님들이 있지만 횟집은 한산 그 자체인데다 휴업한 곳까지 있다.수산 업계가 큰 타격을 입고 시름에 빠지자 해양수산부가 진화에 나섰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2월부터 지난 8월까지 실시한 전국 수산물 위공판장 용수 및 수산물 오염 검사와 양식장의 해수 및 어패류에서도 콜레라균이 검출된 적이 없음을 밝혔다.포항시에서도 죽도시장 회 상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지만 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경남 거제시와 통영시에서 실시한 조사에서도 ‘균 없음’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이미 시민들 사이에서 팽배한 불신을 잠재우긴 역부족이다. 게다가 세 번째 콜레라 환자까지 발생하면서 수산 업계는 바람 앞의 등불과도 같은 신세가 됐다.이처럼 해산물 섭취가 콜레라와 관련 없다는 결과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건, 그 동안 행정 당국의 허점이 여러 차례 드러났기 때문이다.이런 상황에서 신뢰를 다시 찾고, 수산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건 보건 당국의 몫이다. 방역, 역학조사 등을 철저히 하고, 오리무중인 감염경로를 하루라도 빨리 파악해야 한다. 손 씻기, 물 끓여서 마시기, 익혀서 먹기 등의 기본적인 위생 수칙만 강조할 때가 아니라는 의미다. 어민과 횟집 등의 시름을 덜어주는 특단의 대책 마련이 아쉬운 대목이다.  [경상매일신문=김놀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