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김정훈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과 방사성 폐기물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원전 대형폐기물 발생 현황’에 따르면, 현재 6대의 대형 원전폐기물이 발생했다. 앞으로 4대의 운전 페기물이 발생할 예정이다. 이들 교체 비용은 약 6,390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고리원전 1호기 증기발생기 2대, 월성 압력관 1대, 울진 2호기 증기발생기 3대로 총 6대다. 게다가 교체 계획이 완료된 원전폐기물은 울진 1호기 증기발생기 3대(2012년), 고리원전 1호기 원자로 헤드 1대(2013년) 등 총 4대의 원전 대형 폐기물이 발생할 예정이다. 앞으로 2016년까지 울진원전 3ㆍ4호기 2대(2015년, 증기발생기), 영광원전3ㆍ4호기 2대(2015년, 원자로 헤드), 고리원전 2호기 1대(2016년, 운자로 헤드) 등 원전 대형 페기물이 추가로 발생할 예정이다. 최초인 1998년 고리원전 1호기의 경우에는 15년이 지나도 현재까지 원전 대형 폐기물 처리와 관련하여 별도의 매뉴얼이나 처리 계획조차도 없다.
도대체가 원전당국은 이래놓고도 국민들에게 원전을 안전하도고만 한다면, 안전한 원전도 위태롭게 한다. 원전 대형 폐기물 저장고도 하나 없다고도 할 수가 있다. 더구나 계획조차도 없다. 이는 결코 예산이 문제가 아니다. 원전 대형 폐기물의 안전은 원전 자체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가 아닌가. 계획도 없다는 것은 일종의 방치이다. 원전이 방치로만 일관한다면, 이다음은 말하지 않아도 국민들은 다 안다. 지금이라도 늦지가 않다. 원전당국은 원전 대형 폐기물처리와 관련하여, 올바른 대책을 세워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