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 29 재보선 참패이후 새정치민주연합은 혁신위원회를 만들어 새로운 활로를 모색했다. 혁신위 활동이 이제 끝났지만 벌집을 쑤셔 놀은 듯 혼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는 혁신 작업이 제도개혁을 넘어 편의적이고 인위적인 양태로 인적쇄신을 건드렸기 때문이다. 새정치연합 혁신위원회가 조경태 의원을 해당행위자로 지목하고 징계를 요구한 것은 새정치연합의 당내 민주주의가 중병에 걸렸음을 자초한 일이다.
조 의원이 해당행위자로 찍힌 이유는 집단광기 발언이다. 지난 16일 혁신위가 마련한 혁신안이 중앙위원회에서 표결 없이 만장일치로 통과하자 다음날 언론인터뷰에서 패권세력이 집단광기를 보인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조 의원이 문재인 대표와 친노 세력에 대해 줄곧 쓴 소리를 해왔던 사실을 감안하면 이는 조 의원을 해당행위자로 몰고 가는데 필요한 수많은 이유 중의 하나일 뿐이라고 충분히 의심할 수 있는 것이다.
친노측은 이미 조 의원과 같이 갈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으며 집단광기 발언은 그런 결론을 실행에 옮길 표면적 명분에 불과한 것이다. 혁신위원으로 참여했던 조국 서울대 교수의 발언은 이런 의심을 강하게 뒷받침한다.
조 교수는 조 의원의 징계추진을 부산에서 조경태 의원의 의석을 하나 잃는다 하더라도 당의 기강을 세우는데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친노와 매우 가까운 사이다. 그래서 이 발언은 친노의 뜻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새정치연합의 영남지역구 의석은 부산 2석과 경남 1석이다. 전국 정당을 지향한다면 이들 모두 더없이 귀중한 의석이다. 그런데도 당의 기강을 위해 의석 1개를 버려도 좋다는 것은 친노의 의도가 어디에 있는지 잘 말해준다.
바로 친노의 확고한 당 지배력이다. 이런 정신구조에서는 민주주의가 자리 잡지 못한다. 비판을 용납하지 않고 바른 말과 쓴 소리를 달게 받지 않는 조직의 일방통행에는 미래가 없을 뿐이다.
그렇게 해서 세운 기강은 누구를 위하고 무엇을 위한 기강인가? 이런 옹졸한 정치로는 절대로 국민의 마음을 사지 못한다. 혁신 공천안이 반대토론이나 표결 없이 박수 끝에 만장일치로 통과한 것은 당내 민주주의의 파괴였다.
공산당도 그렇게는 안 한다. 새정치연합은 겉으로는 민주주의를 외치지만 당내 민주주의는 죽어가고 있을 뿐이다. 이렇게 가면 끝내는 어느 누구의 사당화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이런 면에서 조경태 의원의 집단광기 발언은 틀리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