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로 예정된 경북도청 이전 시기가 내년 2월로 연기될 공산이 커졌다. 경북도청과 경북교육청 노동조합의 요구가 내년 초로 연기해 달라는 요청에 따라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도청과 교육청 노조 간부들은 최근 김관용 경북지사와 장대진 경북도의회 의장 그리고 이영우 경북도교육감을 잇따라 찾아가 도청과 도의회 및 교육청 이전을 최소한 정주, 교육여건이 갖춰지는 내년 2월로 연기해 줄 것을 공식 요청한 바 있다.
가족의 정주여건과 자녀들의 학사일정 그리고 큰 행사를 앞둔 행정력 차질을 고려할 때 노조의 주장은 현실적으로 설득력이 있다고 봐야 한다.
12월부터 공무원 임대아파트 등의 입주가 시작되는데 그 전에 이전을 강행하면 대구에서 신도청 간 집단 출퇴근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또한 공무원 자녀들의 학사일정 역시 맞지 않는 불편함도 그렇다. 여기에다 2015 실크로드 경주 대축전과 10월 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 등 굵직한 국제행사를 앞두고 행정력에 혼선이 초래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이 같은 여론에 따라 도지사와 도의회 의장, 도교육감은 함께 만나 이전시기를 내년 2월로 연기하는 안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만약 또 다시 연기하게 된다면 그동안 도청이전을 몇 차례 번복한데 다른 정치적 비판과 예산안에 편성한 수백억 원의 이주 지원비 처리문제가 어려움에 처할 수는 있을 것이다.
또한 도청이전으로 웅도경북의 새로운 도약을 시작하려는 집행부의 의지와 이를 통해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려는 경북북부지역 주민들의 기대감은 크다고 하겠으나 최소한의 정주여건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이전을 강행한다면 그에 따른 부작용도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것이다.
도청이전이 내년 2월로 연기되면 공무원 임대아파트 입주가 가능해져 직원들의 출퇴근에 따른 불편과 비용이 크게 줄어들고 자녀들의 입학과 전학도 쉬워질 것이다.
집행부가 무리하지 않고 순리에 따라 이행해 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