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천지원전 1·2호기, 차세대 모델 ‘APR+’ 건설
“韓 확보 못한 기술품목까지 100% 국산화해 설계”
[경상매일신문=박윤식기자] 영덕천지원전 1, 2호기가 APR플러스(APR+)로 건설된다.
APR+는 대형 항공기의 충돌에도 끄떡없이 견딜 수 있도록 원자로 건물, 보조건물 등 안전 관련 외벽 구조물로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 지고있다.
원자로 건물 돔 부위 벽두께는 1m 22㎝로 APR1400보다 더 두꺼워졌고 보조건물은 종전 1m 37㎝에서 1m 52㎝로 강화했다.
이 모델은 아랍에미리트(UAE) 수출과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설계인증 사전심사를 한국 사상 처음으로 통과한 APR1400의 업그레이드 모델이다.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에 따르면 차세대 신형 원전인 APR+는 한국표준형원전(OPR1000)과 APR1400을 토대로 구조적 안전성을 높였다.
용량도 기존 140만㎾급보다 10만㎾ 확대한 150만㎾급이다.
순수 국내 기술로 2007년 8월 개발에 착수해 7년 만인 2014년 8월14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로부터 표준설계인가를 취득했다.
표준설계인가는 원전 인허가 기관인 원안위의 안전성 등 종합 심사를 거쳐 표준설계를 허가받는 제도로 원전을 건설하는 개별 부지의 특성을 고려한 상세설계만 추가하면 원전건설이 가능한 단계까지 기술개발을 완료했음을 의미한다.
발전소 두뇌에 해당하는 주제어실과 원격제어실 등 주요 설비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배치ㆍ설계해 운전 신뢰성을 높였다.
또 화재 발생 등 돌발적인 상황에도 원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4중 안전설비를 설치 하고 물리적으론 4분 만에 격리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일본 후쿠시마원전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피동형 수소제어계통 및 방수문을 적용했고 전기가 끊겨도 발전소의 안전정지와 냉각이 가능하게 냉각설비를 갖추는 등 비상상황에 대한 안전성도 강화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APR+는 원전설계핵심코드, 원자로 냉각재 펌프, 원전계측제어설비 등 한국이 확보하지 못한 일부 기술품목까지 100% 국산화해 설계에 적용했다”며 “모듈형 건설 등 첨단공법을 활용해 건설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6년, 2027년 각각 준공하는 영덕(천지) 1, 2호기는 석탄화력설비인 영흥 7, 8호기와 동부 하슬라 1, 2호기를 대체해 세계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포스트 2020을 앞두고 한국의 이산화탄소 감축에도 일조할 전망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