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8월 13일이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독립기구인 선거구 획정위원회가 요구한 획정기준을 제시한 날이다.
그러나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자기네들 주장만 앞세우며 논의를 한 치도 전진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은 또다시 졸속 부실 처리될 처지에 놓이게 됐다.
헌법재판소는 지난해 10월 지역구 인구편차를 3대1에서 2대1로 줄이도록 결정했다. 이에 따라 내년 총선 때가지 통폐합해야 할 지역구가 60여 곳이 넘는다. 그럼에도 여야는 아직까지 선거구 획정기준을 거론조차 못하고 있다.
여당은 시급한 선거제도 개혁은 제쳐두고 오픈프라이머니 도입만 우기는 반면 야당은 여론과 동떨어진 의원정수 늘리기로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만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심하기 그지없다. 이런 와중에 선거구 획정 실무기구인 국회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위원들이 휴가를 떠나 15일까지 휴업상태에 들어갔다. 진짜 못 말릴 국회다.
이대로 가면 획정위가 10월 13일까지 국회에 획정안을 제시하고 국회가 이 획정안에 바탕을 두고 11월 13일까지 선거법 개정을 완료키로 한 당초 일정도 지연될 공산이 크다.
이 시간표는 총선 1년 전 선거구 획정을 완료하도록 한 공직선거법을 이미 위반한 국회가 고육지책으로 제시한 약속이다.
이마저 국회가 어긴다면 그렇지 않아도 바닥을 치는 국회의 신뢰도는 돌이킬 수 없는 나락으로 실추될 것이다.
여야는 지금이라도 머리를 맞대고 선거구 획정 시간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전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헌재의 결정에 따라 선거구 개편이 불가피해진 만큼 선거제도도 함께 개혁해 지역주의 등 우리정치의 고질병을 치유하자는 데는 사회적 공감대가 이뤄져 있다.
마침 새누리당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니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간의 빅딜을 교차제안 했다.
여야가 당리당략을 더나 허심탄회하게 논의 한다면 얼마든지 불가능을 해소할 수 있는 정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