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은규기자]
중증장애인들이 생활하고 있는 고령군 성산면 어곡리 산1번지에 공장건립이 지난 4월부터 추진되자 군민들은 민원을 제기했으며 10일 공장건립 허가를 반대하는 지역 내 성요셉재활원 원생 500여 명과 어곡리 마을 주민 100여 명 등 6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거리행진 대규모 집회를 가졌다.
이날 집회 참석자들은 오후 1시 시외버스터미널에 관광버스에서 내려 중앙네거리와 축협네거리를 경유, 군청까지 거리행진을 이어갔다.
장애인들과 집회단체들은 피켓을 들고 “공장이 들어설 경우 우리는 갈 곳이 없고, 우리는 어디에서 살아요. 못살아요”라는 구호를 외쳤다.
성요셉재활원에는 1ㆍ2급에 해당하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살아가지 못하는 중증장애인 102명이 생활하고 있다.
2000~2004년 재활원 인근 26번 국도건설 공사 때에도 소음과 분진, 폭발음 등으로 중증장애인들이 뇌전증과 과잉행동, 수면장애, 자해 등을 일으켜 입원 및 치료를 받다가 일부 원생이 사망한 적도 있었다는 것.
집회 관계자는 “어곡리 산1번지 공장건립이 추진되는 위치는 성요셉재활원과의 불과 60여m 떨어져 있다. 인근에도 100여 가구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으며 성산중학교와의 거리도 100여m에 위치해 착공 시 소음 분진 등에 따른 피해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또 “만약 공장건립 추진으로 공사가 시작되면 장애인들에게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과 함께 “국회의원이나 군의회 의원들이 나서 장애인들의 생존권과 환경권, 행복권을 염려하는 입장에서 사태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도 필요할 때”라고 말했다.
특히 “중증장애인들은 작은 소리와 불빛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한다”며 “이곳에 거주하는 중증장애인들은 더는 갈 곳이 없다. 단순하게 중증장애인들이 사는 집이 아닌 이들의 보금자리이며 안식처이다. 재활원에서 계속 평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고령군은 공장을 세우겠다고 제출한 (주)창원KJ산업의 허가신청을 불허하고 재활원 거주인에 대한 건강추적조사를 선행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지역민의 생존권과 행복권은 언제나 주민갈등의 소지가 있을 수 있으나 규제 완화라는 명분으로 장애인과 지역주민들의 희생 위에 강행되는 무분별한 난개발은 피해야 한다는 것.
더군다나 산을 깎는 암반 폭파 등으로 심신이 미약한 장애인이 겪는 정신적 고통은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건강권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개발 허가 시 모든 책임은 고령군에 있음을 분명히 경고했다.
따라서 대구ㆍ경북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고령군이 공사를 허가해 그대로 추진한다면 ‘성요셉재활원 앞산(산1번지) 개발반대 대책위’와 ‘주민대책위’등 연대로 투쟁해 나갈 것을 밝힌바 앞으로 대규모 집회 후 고령군의 행정은 어떤 조치로 변화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