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가 터졌을 때만 안전과 규정강화를 외치다가 시간이 지나면 흐지부지 되는 망각의 악습이 또 터졌다.
안타까운 참사를 지켜보면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배웠는가? 국민의 안녕과 안전 앞에서는 술수나 형식에 그치는 구호로만 국민을 현혹시켜서는 아니 되거늘 우리는 또 한번 실망을 반복하게 되었다.
세월호 참사로 전 국민이 안전에 대한 각오를 다지던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해양경찰 해체와 국가안전처 신설 구상을 밝힌 바 있다.
담화에서 첨단장비와 고도의 기술로 무장된 특수기동구조대를 만들어 골든타임 대응능력을 높이겠다고 철석같이 약속했다.
이에 따라 해경에서 구조와 잠수방재업무에 능숙한 전문인력 62명을 모아 지난해 12월 국가안전처 직속기관으로 만든 조직이 중앙해양특수구조단이다.
그런데 이게 웬 일인가? 그렇게 출발한 해양특수구조단의 현재의 상황은 우리를 허탈하게 하고 있다. 거처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한 채 부산해양경비안전처 2층에 더부살이를 하며 지내고 있기 때문이다.
훈련장소도 갖추지 못해 아스팔트 도로 옆 가로등에 로프를 걸고 해상환자 수송훈련을 하고 있다. 인명구조훈련과 잠수실습을 본부에서 멀리 떨어진 실내수영장을 빌려 하고 있다.
행정적으로 버려지다시피한 상황에서 도대체 어떻게 실력을 쌓고 비상시 긴급 출동해 험한 바다에서 국민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단 말인가?
이뿐 아니라 2013년 태안시설캠프의 고교생 안전사고 이후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안전점검과 종사자의 위기대처 능력향상을 위한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2년이 지난 지금까지 현장에서 안전의식을 찾기란 쉽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안전교육을 의무화하고 이를 지키지 않으면 아예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없도록 하는 강력한 안전제도 마련이 절실하다.
전시행정에 그치고 마는 정부대응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안전구호 만큼은 소를 타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