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선거구획정 논의가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정치 신인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국회의원 정수 증원 및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둘러싼 여야간 견해차로 내년 4월 치러질 20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지역구 재획정 작업이 답보 상태를 보이면서, 총선에 출마하려는 이들이 난감한 처지에 빠졌다.
헌법재판소가 지역구 인구편차를 3대 1에서 2대 1로 낮추라고 결정하면서 대대적인 ‘지역구 새판짜기’ 작업이 시작됐지만, 현재로선 각 시ㆍ도에서 어느 지역끼리 묶이고 어느 지역이 나누어져 최종 몇 개의 지역구가 생길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총선 6개월 전인 오는 10월13일까지 20대 총선의 지역구 ‘밑그림’을 국회에 제출해야 하는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아직 본격적인 획정 작업을 시작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여야 입장차로 획정기준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인구 미달 지역구의 한 현역 의원은 “인근 지역과 내 지역이 합쳐질 것 같은데 그렇다고 함부로 다른 지역구 주민들에게 인사하고 다니거나 거기서 활동하는 것도 정치적 도리에 어긋나는 것 같아 매우 조심스럽다”면서 “빨리 선거구가 정해지면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특히 현역 의원에 비해 지명도와 인지도가 떨어지는 정치 신인들의 그 불안감이 더하다.
현역보다 불리한 위치에서 경쟁을 시작하는 만큼 지역에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한창 바쁘게 움직여야 할 때이지만, 지역구가 어떻게 정해질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어디에서 어떻게 활동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고 있기 때문이다.
선거를 준비 중인 한 정치권 관계자는 “획정 결과가 나올 때까지 무작정 손 놓고 기다릴 수는 없기 때문에 눈치껏 활동을 하고 있지만, 획정 결과에 따라 그동안 쏟아부은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부담감도 있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신인들은 당장 ‘당내 경선’준비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김무성 대표가 여당 단독으로라도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겠다고 선언해 당원 확보 경쟁이 불붙었다.
정치 신인들도 경선에 대비해 기존 당원들을 파고드는 것은 물론 자신의 지지층을 당원으로 참여토록 유도해야 하지만 선거구 획정 결과에 따라 애써 모은 당원들이 ‘옆 지역구 당원’으로 되면 그동안의 노고가 허사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