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김관용 지사ㆍ장대진 도의장 등 만나 반대의사 전달
정주여건 미비 시기상조…과다한 혈세 낭비 않도록
올 11월로 예정된 경북도청의 이전을 두고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공무원 노동조합을 비롯해 정치권 등 각계각층에서 ‘연내 이전 제고’를 촉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주여건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연내 이전을 강행한다면 많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경북도청공무원노동조합과 경북교육청공무원노동조합 29일 올해 안에 도청 이전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는 장대진 경북도의회 의장에게 보내는 건의서를 통해 “도청과 도교육청 이전 시기를 최소한 정주ㆍ교육여건을 갖추는 내년 2월로 연기할 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양대 노조는 건의서에서 “도청과 교육청 이전은 경북의 새로운 백년대계를 여는 역사적 과업이며 300만 도민의 염원이 담긴 시대적 과제지만 도청이전 시기를 두고 공무원은 물론 도민들까지 혼란 속에 빠져들고 있다”면서 “이해당사자인 공무원들의 의사에 반한 집행부와 도의회의 조기이전 강행은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어 반드시 제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주여건을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 겨울철에 1천여명이 넘는 공무원이 30여대 통근버스와 수백대 자가용으로 왕복 4시간 220㎞에 이르는 미끄러운 도로를 매일 새벽과 밤에 달린다는 것은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자녀 학사일정 등에 맞춰 가족이 함께 이주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과다한 통근버스 투입 등으로 혈세를 낭비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9일 “도청과 도교육청 이전 시기를 최소한 정주ㆍ교육여건을 갖추는 내년 2월로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도청 이전 시기와 오는 8월 열리는 ‘2015 실크로드 대축전’과 10월 열리는 ‘세계군인체육대회’등의 행사가 겹치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노조는 “눈앞에 닥친 각종 국제행사의 성공을 위해 도청 전 공무원이 지난 6월부터 나서 붐 조성과 안정적인 관람객 유치를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이런 시기에 도청이전이 추진된다면 국가의 격이 걸린 국제이벤트 준비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노조 간부들은 건의문을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이영우 경북도교육감, 장대진 경북도의회 의장을 차례로 찾아가 전달했다.
앞서 새정치민주연합 경북도당도 지난 15일 성명서를 내어 “경북도청이 이전 시기를 11월로 갑자기 결정한 것은 경북도의회가 11월 6일 예정인 제2차 정례회를 신청사에서 개최하기로 방침을 정하자 울며 겨자 먹기로 따르기로 한 것이기 때문”이라며 “이는 많은 예산낭비와 공무원 불편과 위험, 그로 인한 행정공백이 예상되는 졸속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1천명이 넘는 공무원을 40여 대의 버스를 이용해 하루 3시간 이상의 출퇴근을 시키는 것은 예산의 낭비일 뿐 아니라 행정업무의 효율성도 크게 저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경북 북부의 겨울기온 저하와 잦은 폭설의 문제를 생각하면 공무원의 신변 위험문제도 가볍게 볼 수 없다”면서 “도의회와 경북도청 공무원노동조합 관계자 모두가 동의하는 합리적인 이전 방법과 시기를 결정하기를 제안한다”고 촉구했다. 오중기 경북도당 위원장은 “경북도가 11월 도청 이전을 고집한다면 올 가을 열리는 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를 비롯해 굵직굵직한 각종 행사는 물론 정부 예산시기와도 맞물려 경북지역 주요사업에 대한 국비확보에도 차질이 불가피해 질 것”이라며 “경북도 의회도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대의를 위해 올해 이전 고집을 벼려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한편 도청이전 신도시 정주여건의 진행 상황은 644가구 규모의 공무원 임대주택이 내년 1~2월에 완공되며 민간 아파트 798가구는 내년3월 입주한다. 또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도 내년 3월에 문을 열 계획이다. 예천~신청사 진입 도로 역시 내년 6월 준공 예정이어서 사실상 정주여건이 전무한 상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