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83호 금동반가사유상이 꿈에 그리던 고향 땅을 밟았다.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전’이 열리는 국립경주박물관. 박물관 개관 70주년 기념과 ‘실크로드경주 2015’특별전으로 열리고 있는 이 전시에는 특출한 신라 유물들이 즐비해 있지만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것은 국보 83호 금동반가사유상이다.
그동안 삼국시대 불상으로만 알려져 오다 2013년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전시를 계기로 신라의 옷을 입은 금동반가사유상. 한국미술을 대표하는 걸작인 국보83호 금동반가사유상이 ‘실크로드경주 2015’를 맞이해 금의환향한 것이다.
지난 21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2주간 특별전시를 기념하는 연계 학술행사가 지난 24일 경주박물관 세미나장에서 열렸다.
초미의 관심사인 반가사유상에 대해 고대 불교조각 전문가인 영남대 임남수 교수의 특강이 있었다.
임 교수는 반가사유상이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의 간다라 지역에서 처음 만들어졌으며,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에 들어오면서 그 중요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반가사유상은 의자에 앉되 왼쪽 다리를 내리고 오른쪽 발은 왼쪽 허벅지에 걸치며, 오른 팔은 무릎 위에 괴고 오른 손을 가볍게 대어 생각에 잠긴 불상이다”며 “한국에서 반가사유상이 본격적으로 조성되는 시기는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후반에 이르는 약 100년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동반가사유상을 등신대에 가까운 크기와 뛰어난 조형성으로 운반과 전시에 용이해 해외에서 국위를 선양하는 한국 미술계의 국가대표급이라고 주장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