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를 비롯한 17개 시도를 대기업들이 각각 맡아 지역특화사업을 육성하고 창업벤처와 중소기업 성장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혁신센터는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허브다.
박 대통령이 17곳 중 15곳의 개소식에 참석할 만큼 각별한 관심을 보여 왔다. 이제 창조경제혁신센터 17곳이 모두 문을 열었다.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기업의 높은 호응이 시너지를 내면서 창업국가의 틀을 닦는데 긍정적 효과를 낼 것이다. 잘만하면 한국판 실리콘벨리를 17개나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넘어야할 과제는 수없이 많다. 우선 혁신센터 출범과정에서 불거진 기계적인 지역배분, 대기업 할당제 등 태생적 한계를 이겨내야 한다.
지난해 9월 대구를 시작으로 출범한 혁신센터는 대구에는 삼성, 대전에는 SK, 광주에는 현대차, 충북에는 LG, 부산에는 롯데 등과 같이 정부가 대기업에 연고지역을 할당한 모양세 이다.
어찌 보면 각본에 의한 배당형식이라는 냄새를 지울 수 없다.
개소식에 맞춰 대기업이 장밋빛 투자계획을 쏟아내고 이에 화답하듯 대통령이 대기업 총수를 격려하는 모습이 되다보니 혁신센터가 전시행정에 그치고 마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의 여지를 떨칠 수 없다.
대기업들의 형편과 사정에 따라 스스로 지역특성에 맞춰 투자계획을 내놓을 수 있도록 해야만 지속가능할 것이다.
무엇보다 건강한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창업은 돈이나 기술이 없어서 못하는 것이 아니다. 창업을 부추기고 성공을 받쳐주는 문화와 제도가 중요하다.
사소한 규제로 발목잡고 기업의 성과를 갉아먹는 낡은 틀을 놔둔 상태로는 성공할 수 없다. 혁신센터를 창업생태계의 용광로로 만들겠다는 각오와 실천이 필요할 것이다.
이번 정권에서 꼭 성과를 내겠다는 조급증도 던져야 한다. 혁신센터를 박근혜 정부의 전유물로 여겨서도 안 된다.
우리는 정부와 정권이 바뀔 때마다 과거정부 정책이 찬밥신세가 되는 장면들을 수없이 봐왔다.
정부주도 사업이 되어서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