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 추진 전략회의’ 열어
자연재해 등 각종 재난 대응체계 로드맵 제시
[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경북도가 사람중심의 안전한 경북 만들기를 위한 페달을 힘차게 밟았다.
27일 경북도에 따르면 최근 국가재난안전 아젠다를 선도하고 ‘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 전략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한 ‘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 추진 전략회의’를 갖고 각종재난사고 대응체계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 사업은 경북도가 지진, 해일, 해양, 환경, 산악 등 자연재난재해와 산업ㆍ사회분야별 국가안전정책에 맞춰 미래안전산업 선점을 위해 구상해온 경북 신 미래전략 프로젝트다.
이는 백두대간ㆍ신도청 중심의 북부권역, 구미, 김천 혁신도시, 경산 창의지식서비스 도시를 연계한 서남부권, 원전 등 특수재난허브로서의 동해안권 등 권역별 재난안전 인프라를 개발해 국가안전산업의 중심지역으로 부상코자 하는 경북도의 발빠른 전략사업인 셈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사회안전서비스 전문인력양성원 ▲안전시뮬레이션 R&D센터 ▲국립 외상후스트레스 치유센터 ▲건설안전교육지원센터 ▲친환경안전농산물공급센터 ▲국가 특수재난트레이닝센터 ▲동해안119특수 구조단 설립 등 총 23개 전략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의 이번 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 구상은 민선6기 출범이후 새로 기획했으며 세부사업안은 그동안 정부재난안전정책과 국책재난연구기관의 연구과제와 정책동향을 꾸준히 검토하면서 준비해 왔다.
특히 수차례 재난 전문가 정책협의회, 시군 및 담당부서 업무협의회 등 다양한 사업검토와 추진협의를 바탕으로 최근 기본구상과 선도핵심사업 용역을 마무리 하고 20여개 전체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앞두고 있다.
아울러 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의 전략적 추진을 위해 도민안전실의 정책 총괄ㆍ안전대응관리와 미래전략기획단의 기획지원 추진체계를 기반으로 개별사업을 추진하는 11개 사업부서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번 전략회의 이후 본격적인 추진ㆍ실행단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 6월 26일 출범한 도민안전실과 함께 경북안전정책의 핵심선도프로젝트가 될 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 추진에 더욱 탄력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낙영 행정부지사는 “지난해 세월호 사고와 정부의 국민안전처 출범, 최근의 메르스 사태 등 국가안전정책 아젠다와 범국민적 이슈를 선제적으로 주도하기 위해서는 국가재난안전클러스터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경북미래의 신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안전산업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