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경북도가 낙후지역 개발 사업의 국비확보를 위해 발걸음이 재다.
27일 경북도에 따르면 관광휴양 및 지역특화사업과 기반시설 등 향후 10년간 3천700억 원 가량의 국비확보를 위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분야별로는 관광휴양 및 지역특화사업 26개소에 1조 2천400억 원, 기반시설 70개소에 8천960억 원 규모다.
도는 향후 10년 살림살이 확보를 위해 타도 보다 발 빠르게 지역개발계획 수립 용역을 착수해 오는 11월 계획 수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특히 도내 성장촉진지역 16개 시ㆍ군의 기존 개발촉진지구 사업과 신발전지역 사업을 재검토해 실현가능성 과 추진 가능한 수준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ㆍ군에서 제안한 관광휴양ㆍ지역특화발전ㆍ기반시설 등 신규사업에 대해서는 실현가능성 검증결과 타당성이 있는 사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도는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최근 군위 삼국유사문화회관에서 도, 시ㆍ군 공무원 및 관계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개발계획 수립 보고회’를 개최했다.
보고회는 국비확보를 위한 지역개발계획수립 방향을 제시하고 지역개발사업 발굴 및 발전방향에 대한 도, 시ㆍ군 공무원 및 관계전문가들의 정보를 교환하는 등 소통의 시간으로 진행됐다.
한편 올해 1월 1일부터 기존의 지역개발제도를 통합하고 지역 주도의 지역개발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지자체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지역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도는 ‘경상북도 발전촉진형 지역개발계획수립’ 용역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작년 12월 지역개발방향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전제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신규사업 96개소를(총 사업비 2조 1천360억 원) 발굴한바 있다.
최대진 지역균형건설국장은 “지역실정에 맞는 지역주도ㆍ주민체감형 ‘지역개발계획`을 수립ㆍ시행 할 계획”이라며 “지역개발계획이 수립되면 토지수용, 규제특례, 조세ㆍ부담금 감면 등의 혜택과 국고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