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ㆍ중ㆍ고등학교 운동장 인조 잔디(이후 잔디)의 유해성이 이미 입증되었음에도, 포항시교육청은 학교에 또다시 잔디를 깔 계획으로 있다. 그 유해성을 다시 짚어보면, 사용연도가 갈수록 섬유화가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와 충격 완화제로 쓰이는 충전제인 고무 분발에서 다량의 유해물질을 내뿜고 있다.
위에서 사용연도를 말했으나 사용연도도 문제이나, 이보다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 되는 것은 학생들이나 인근 주민들이 얼마만큼 사용하는가에 따라 사용연도와는 무관하게 고무분말이 발생하는 연도가 빨라진다. 그러니, 사용연도보다 사용회수와 인원에 따라 고무분말이 나오는 속도가 빨라진다. 이는 연도에만 매달려서는 결코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고무분발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을 보면, 지난 2008년에 잔디를 깐 P여중의 경우 고무분말 안전도 유해성 시험결과(mg/kg)에서 납(90), 카드뮴(50), 수은(25), 6가 크롬, T-VOC(50), PAHs(10) 등 안전 기준 허용치의 최고치와 똑 같은 수치가 나왔다. 그러나 2012년인 올해에 다시 검사를 하면, 지난 4년 동안 인체에 발암물질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왔고 봐야한다.
이 같은 잔디가 깔린 포항시 학교는 지난 2004년 포항여자전자고를 시작으로 현재 초등학교 12개교,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4개교, 명도학교 등 총 24개교에 잔디가 깔려 있다. 최초의 학교부터 오늘까지 지난 시간 동안 포항시교육청이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안전도 검사를 몇 번이나 했는지가 의심스럽다.
이 의심에 대해 포항교육청 당국자의 말을 들으면,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니, 일선에서 사업 유무를 결정할 수가 없다. 이어 안전성과 유해성에 대한 여부를 관계 기관의 협조를 얻어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부 차원에서 하는 일이니, 인선에서 사업 여부를 결정할 수가 없다는 데에 대해서 우리도 일정부분 이해를 한다.
그러나, 안전성이나 유해성 등을 정부에 보고를 해야 하는 게 아닌가. 이 보고에는 안전성과 유해성 등 발암 물질이 지속적으로 나온다는 사실도 포함되어야 한다. 학생이나 학교 인근 주민들의 건강을 일차적으로 지켜줄 책임은 멀리 떨어져 있는 정부보다 바로 당사자인 학교가 문제를 들고 일어서야 한다. 학생들의 건강문제를 일선 학교가 정부 운운 하면서, 이제 와서야 관계기관 협조를 들먹이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포항교육청 관내 흥해초교, 흥해남산초 등 2개 학교에 잔디를 조성할 계획이다. 포항교육청이 정부만 들먹이는 사이에 또 유해성과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잔디가 깔릴 판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포항교육청이 말한 유관기관의 협조를 받아, 우선 유해성이나 안전성 검사부터 먼저 해야 될 것이다. 이게 학생들의 건강을 위한 합리적인 순서이다.
또 포항교육청에 따르면, 아직까지 유해성 검사규정도 없다고 한다. 이도 유관 기관의 협조를 받을 때에 이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 한꺼번에 하는 게, 앞일을 위해 더욱 순리적이다. 학생들이 건강을 위한 일에 예산이나 인력을 아껴서는 안 되다. 더하여 이참에 잔디를 대체할 안전한 방책도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이미 잔디가 깔린 학교에 대한 안정성과 유해성 검사를 해마다 해야 한다는 규정도 정해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