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길호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4일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가 두드러기 질환인 만성담마진 판정을 받기도 전에 병역이 면제됐다는 의혹을 제기해 논란이 예상된다.
당 비례대표인 김광진 의원은 이날 열린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특위 회의에서 “황 후보자가 1980년 7월 4일자로 병역을 면제받았다고 자료를 제출했는데, 희한하게도 수도통합병원에서 만성담마진이라고 인정한 것은 6일 뒤인 7월 10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질환에 대한 군의 최종 판정이 나기도 전에 군 면제자가 됐다는 것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이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황 후보자는 병을 앓았다는 의학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이후 치료 받았거나 약을 먹었다는 것도 증명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분명한 근거를 본인이 제시해야 한다. 그러지 못하면 병역 면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의료보험공단 진료내역 등을 제공하면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데도 후보자측이 본인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고 있다”며 “충분히 입증할 수 있는데 안 하는 것은 스스로 부끄러운 점이 있어서 그러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군 의료기관과 국방부 자료의 경우 최종 면제자는 영구보관하지만 1995년 대상자까지는 폐기를 했다고 한다”며 “황 후보자는 공교롭게도 본인의 만성담마진은 1995년에 완치됐다고 답변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아울러 황 후보자가 병장으로 만기전역한 장남의 병적기록을 제출하지 않고 있다면서 “보직변경이나 휴가문제 등이 염려돼 아마 공개 못하는 것 같은데 당당히 관련 자료를 제공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 당 일각에서는 메르스 사태 탓에 황 후보자에 대한 검증이 유야무야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의 최대 수혜자가 황교안 후보자라는 말도 있다”면서 “이럴수록 검증을 철저히 해야겠지만 아무래도 여론의 주목도가 떨어질 수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