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가 아닌 자가 약국에서 약을 판매하는 행위는 불법으로써, 반드시 단속을 해야 한다. 그럼에도 포항 죽도시장 인근에 일부 약국에서는 버젓이 드러내 놓고 약사가 아닌 자가 약을 판매하고 있었다. 이를 본지가 수차례에 걸쳐 지적하여, 포항시의 보건행정이 시민들의 건강지킴이 역할을 다해줄 것을 요구했었다.
그럼에도 이런 불법적인 약품 판매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다. 그동안 포항시 보건소가 취한 것은, 주기적으로 약사가 아닌 자가 약을 판매하지 못하게 하는 서한문을 발송하는 데에 그쳤다. 그리고 간담회를 개최하여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계도를 했었다. 단속 정도가 이 정도였으니, 일명 카운터로 불리는 자가 약품 판매가 없어질 턱이 없었다. 이를 두고 말하면, 포항시가 시민들의 건강을 제대로 지켜줄 의지가 전혀 없었다고 해도 맞는 말이 아닌가.
포항시의 시민 건강지킴이 역할이 이 정도에 그치고, 시민들의 여론마저 포항시에 도대체 보건 행정이 있는가 하는 쪽으로 흘렀다. 일이 여기에 이르자, 경북도가 직접 단속의 칼을 빼들었다. 경북도가 지난 14일 죽도시장 주변의 일부 대형 도매약국이 불법적으로 의약품을 판매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에 전격적으로 나섰다. 단속 결과 5개 대형 도매약국을 적발했다. 이 단속으로 영업정지 10일 등 행정처분을 했다.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건데 불법적으로 약사가 아닌 일명 카운터의 약품 판매가 이 정도뿐이겠는가 하는 의문이다. 또한 기껏 10일 정도의 영업행위 정지로써, 불법이 정상화로 가겠는가 하는 점도 대단히 의심이 되는 점이다. 그동안 이들 약국은 약사가 아닌 자가 약을 판매함으로써, 상당한 부당 이득을 얻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고통 받은 시민들도 있었을 것이다. 카운터 약 판매는 약사가 약을 판매하는 것보다는 카운터가 약을 판매하는 게 훨씬 이득이 되었기 때문으로 본다. 이렇다면, 약사가 약을 정상적으로 판매하는 게 훨씬 이득이 된다는 인식을 약국 운영자들에게 확고하게 심어줄 만큼의 행정처분을 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럼에도 명색이 포항시가 아닌 경북도가 단속에 나서 이 정도만의 결과를 얻었다는 것은 우리가 도저히 이해를 할 수가 없다. 더군다나 행정처분도 10일 정도라면, 앞으로도 약사가 아닌 카운터로 갈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 한다.
이번 단속에 대해 경북도 관계자가 약국 체질 개선의 확고한 의지로 사전 정보 누출의 가능성을 우려하여 포항시에 통보 없이 경북도 자체 감시단을 구성해 실시했다고 했다. 이 대목에서 포항시의 보건행정이 망신을 당했다고 본다. 망신에만 그치지 않고, 과거에 경북도가 직접 단속에 나설 때에 포항시에 사전 통보를 하여 단속의 정보가 누출이 된 적이 있었다고 생각할 수가 있는 여지가 없지 않다. 이도 자세히 살피면, 포항시의 행정신뢰를 깨트리는 것에 진배없다.
포항시의 행정신뢰 회복을 위해 좀 더 자세히 밝혀야 한다. 이를 밝힐 수가 없다면, 괜스레 경북도가 나서 되레 포항시의 행정신뢰만 깨고만 것이다. 또 포항시민들은 포항시의 상부 기관인 경북도가 나서 으스댔다고도 여길 수가 있다.
이어 지난해부터 의약품 유통ㆍ판매 불법 행위에 대한 엄중 단속 메시지를 전달했다. 포항시가 지난해 자체적으로 관내 26개 대형 약국을 중심으로 ‘약사 불법행위 예방교육을 실시해 자체적인 시정 기회를 주었다’고도 했다. 포항시가 이를 잘만했더라도, 이번과 같은 남세스런 일을 당하지를 않았을 것이다. 미온적인 단속이 화를 자초하고 말았다.
약국 업계에서도 포항시 보건소의 미온적인 행정으로는 대형약국의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행태를 절대 시정할 수가 없다. 이를 반드시 근절하겠다는 포항시의 강력한 의지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업자의 말이 이 정도라면, 포항시의 보건행정의 현주소를 알만도 하다. 하여튼 경북도가 단속을 하고 이제 갔다. 남은 과제는 포항시가 도맡아야 한다. 업자의 말처럼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단속만이 남았다. 죽도시장 인근뿐만이 아니라 포항시 전 약국을 대상으로 단속을 해야 할 책임은 포항시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