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오는 11일 전당대회의에서 `혁신과통합` 주축인 시민통합당과의 합당 결의를 원만하게 끌어내는데 `올인`하고 있다.
7일 시민통합당과 통합에 필요한 합의를 극적으로 도출했지만 당 내부에서 통합의 절차와 방식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여전해 자칫 전대가 무산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8일 일부 반대파가 `전대 보이콧`에 나서려는 움직임을 파악하고 의결 정족수를 채우기 위한 총력전에 뛰어들었다.
우선 이날 오후 지역위원장 회의를 긴급히 소집하고 9일에는 광역의회 의장단 회의 개최를 추진하는 등 대의원의 전대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16개 시ㆍ도당별로 중앙당 당직자를 1~2명 파견하고 중앙당에 콜센터를 마련하는 한편 지역위원장, 대의원을 상대로 수시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서 공을 들이고 있다.
민주당은 9일 대의원 명부를 확정하면 그 수가 당초 알려진 1만2천명이 아니라 1만명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하지 않아 자격을 상실한 대의원이 20% 가량에 이른다는 추산에서다.
당 관계자는 "대의원의 과반인 정족수를 맞추려면 5천명 정도가 전대에 참석하면 된다"며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당내 경선이나 후보단일화 경선 경험에 비춰 그 정도의 참석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전대 진행 과정에서 반대파의 표결 요구가 나올 것이라고 보고 중앙선관위에 전자개표기 지원도 요청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민주당 전원이 똘똘 뭉쳐서 11일 전대를 축제로 치러내야 한다"며 "70%를 내주더라도 통합해야 한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유지를 받들어 전대 성공에 전력을 다하자"고 강조했다.
손학규 대표의 야권통합 방식에 반발해 결별을 선언한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앞으로 손 대표와 정치적 행보를 함께 하지 않겠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전당대회에 불참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비열한 방법으로 불참한다든지 지역위원회 대의원을 불참시키는 일은 하지 않겠다. 내게는 반대 행동을 조정할 능력이 없다"고 `전대 보이콧`까지 나서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반대파에 선 일부 원외 지역위원장 사이에서는 전대에 참여하지 말자는 기류도 있다. 이들은 이날 지역위원장 회의 결과를 지켜보고 행동방침을 정하기로 했다.
전날 일부 원외위원장 회의에 참석한 한 인사는 "지금 상태의 통합에는 반대하는 의견이 압도적 다수였다"며 "전대 때 표결 없이 당의 진로를 결정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