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8일 ‘3ㆍ8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해 경북 각지에서 선정된 여성 10명의 다양한 삶의 목소리를 채록한 ‘구술생애사를 통해서 본 경북여성의 삶 Ⅱ’를 선보였다.
경북도가 기획하고 경북여성정책개발원에서 발간한 본 책자는 2007년에 이은 두 번째 이야기로, ‘하고 싶은 말은 태산도 부족이라’는 부제로 만들었다.
책자는 ‘집과 삶’, ‘기능과 삶’, ‘일과 삶’, ‘배움과 삶’으로 집필됐다.
‘집과 삶’에는 독립운동가 심산 김창숙의 정신과 함께 생가를 지켜온 자부 손응교(98), ‘육지속의 섬’으로 불리는 영양 오무마을의 200년 된 투방집(귀틀집)에서 살고 있는 김통분(82)씨의 일생을 담았다.
‘기능과 삶’에서는 경북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안동 금소리 안동포 짜기와 영덕 월월이청청 놀이의 기능보유자인 우복인(85), 하복란(84)의 삶을 소개하고 있다.
‘일과 삶’은 울진 십이령고개 말래주막 마지막 주모 박금년(91), 경산 일제 철공소 건물에서 떡방앗간을 운영해온 이태분(82), 영천시장에서 3대째 곰탕집을 운영하는 이순덕(68), 문경에서 43년간 화장품을 팔아온 팔순의 현직 화장품 방문판매원 이숙희(81)의 생업을 수록했다.
‘배움과 삶’에서는 77세에 처음 그림을 배운 예천 신풍리마을 할머니 화가 박계순(81)과 76세에 처음 글을 배워 시를 쓰고 연극도 하는 칠곡 보람할매연극단원 박옥순(77)의 새로운 인생 이야기가 실렸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