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명산인 팔공산 도립공원의 경제적 가치가 5조2000억원에 이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북도는 4일 팔공산의 우수한 역사ㆍ문화 자원과 동ㆍ식물 등 자연환경자원을 DB화하기 위해 실시한 ‘팔공산도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결과를 이와 같이 분석됐다고 밝혔다.
또 이번 조사결과 지금까지 팔공산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1566종을 포함해 4,741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도시형국립공원인 북한산 2945종, 계룡산 3375종, 무등산 3668종에 비해 월등히 많아 팔공산의 생물자원 가치가 매우 높다는 분석이다.
특히, 멸종위기Ⅰ급인 수달을 포함해 Ⅱ급인 삵, 담비, 독수리 등 11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주목받고 있다.
이밖에 가야물봉선, 고려엉겅퀴, 긴몰개, 고려애장님노린재, 남포잎벌, 꼬리치레도롱뇽, 한국산개구리, 주름다슬기 등 한반도 고유종 61종과 곤충분야에서 국내미기록종 9종(맵시벌과)이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함께 국보, 보물, 유형문화재 등은 165건의 지정·비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산, 계룡산, 무등산 등의 국립공원보다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팔공산을 이용하는 년간 탐방객수는 약 450만명으로 조사됐으며, 팔공산의 보존가치와 이용가치를 합친 총 경제적 가치는 5조 2000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도는 국제적인 환경시대를 맞아 국가 생물주권 확립 및 생물자원에 대한 국가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팔공산에서 관찰된 다수의 생물종과 한반도 고유종은 매우 의미 있는 조사결과로 평가하고 있다.
권오승 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이번 자연자원조사 결과로 팔공산의 생태적·문화적 가치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 “이번 조사가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및 주요 서식지 보호ㆍ관리, 탐방객 편의제공, 지역사회 협력 방안 마련 등 팔공산의 체계적인 관리기반 구축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