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28사단에서 발생한 구타 사망사건과 관련해 병영 내 인문교육에 대한 대책을 세울 것을 거듭 강조하고 나섰다.이에 병영 문화에 인문학 교육을 접목시키겠다는 박 대통령의 `발상`의 배경 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폭력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질적인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군내 인문교육 프로그램이 잘 정착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방부와 문체부가 같이 힘을 써서 군내 도서실 지원을 확대하고, 도서 공간을 잘 만들고, 도서 코칭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의 노력도 할 필요가 있다"고 지시했다.
청와대와 군 안팎에서는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인문교육`을 통한 병영문화 개선에 대해 그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그 효과와 배경에 회의적인 입장이 적지 않다.
군의 근본적인 존재 목적은 `국토를 위협하는 적에 맞서 싸워 이기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투철한 국가관과 군의 기강확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인문교육을 도입하기 보다는 정훈교육과 간부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사고부대의 경우, 군 기강 해이, 초급 지휘관의 자질과 역량 등이 문제였으며, 병영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우선시 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과거 군에서 많은 사고 방지대책이 나왔지만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며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박 대통령은 군내폭력을 학교·사회 폭력의 연장선으로 인식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11일 신임 군 수뇌부에게 "학생들이 학교에서부터 인성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가운데 군에 입대하고 있다"면서 "인격이 존중되는 인성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직전에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에서도 "최근 윤 일병 사건 등 군내에 폭력 사건이 있었고, 또 김해 여고생 피살사건 등 반 인륜적인 폭력 사건이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면서 "이런 폭력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선 우리 모두가 나서서 학교와 군대를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사병에 대한 인성교육을 강화하고, 병영 내 인문프로그램의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지휘관 장교도 교육연수 과정에서 이런 인문 프로그램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군 간부에 대한 인문학적 인성교육을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