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독도 바다가 수산생물이 풍부한 생태계로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은 12일 10년간 독도 주변 해역의 수산자원을 조사한 결과 아열대어종과 해조류가 많아지는 등 해양생태계가 건강하게 회복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수과원에 따르면 동해 표층수온은 기후변화로 지난 46년(1968~2 013년)간 1.3℃증가한 반면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독도의 최근 10년(2004~2013년)간 표층 수온은 1.5℃ 상승해 동해보다 다소 상승폭이 높다.
이에 따라 아열대어종인 자리돔, 용치놀래기, 말쥐치가 기존의 연어병치, 빨간횟대, 참홍어 등을 밀어내고 독도 앞바다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조사 결과 2002~2005년 연어병치, 참홍어, 빨간횟대, 성게, 문어 등이 주로 분포했고 2006년 이후에는 자리돔, 망상어, 용치 놀래기 등 아열대어종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올해 7월 실시한 조사에서는 어류 36종, 해조류 125종, 대형저서동물 76종 등 총 237여종의 수산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125종의 해조류 중 31종(25%)이 약용으로 활용 가능하고 방석청각, 감태, 우뭇가사리 등 18종은 한국인 5대 질환(고혈압, 당뇨, 항암, 심장병, 뇌졸중)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영훈 수산과학원장은 “더욱 직접적인 자원조사를 강화해 독도 수산자원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독도를 우리나라 최동단 거점으로 정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구조와 기능 변화를 모니터링해 대응전략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