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융성했던 불교문화를 만나볼 수 있는 곳이 포항에도 있다.
포항시 북구 신광면에 위치한 신라시대 사찰터인 법광사지는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493호(2만4490㎡)로 2008년에 지정됐다.
법광사는 9세기 전반인 신라 제42대 흥덕왕 3년(828년)에 김균정이 창건한 왕실사원으로 제46대 문성왕대에 번창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동경잡기’등의 조선시대 문헌에도 사찰의 이름과 위치 등이 정확히 기재돼 있다.
창건 당시에는 갖가지 보배로 화려하게 장식해 왕궁보다도 사치스러웠다.
건물의 칸수를 모두 합하면 525칸이나 돼 불국사와 맞먹는 규모와 수준을 자랑했다 한다.
원효와 의상이 주지를 지낸 절이라고도 전한다.
금당 등 건물의 주초석과 연화석불대좌, 삼층석탑, 쌍두귀부, 당간지주, 사적비 등 석조 유물도 남아 있어 창건 당시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특히 금당터에 남아있는 불상대좌의 경우 지름 2.42m, 높이 약 2m로 9세기 전반에 창건된 사원의 불상 가운데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법광사지는 신라 왕실사원으로서의 성격과 출토 유물들의 우수성 등을 감안할 때 여주 고달사지, 원주 법천사지 등에 견줄만한 학술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법광사에 대한 기록
삼층석탑 내에 봉안된 탑지석에 의하면 법광사는 828년(흥덕왕 3년)에 창건한 사원임을 알 수 있다. 창건주로 등장하는 성덕대왕은 김균정의 시호인데, 그의 사후 3년 뒤인 제45대 신무왕(~839) 즉위 원년인 839년 4월에 추봉됐다.
1669년 편찬된 ‘동경잡기’의 ‘불우조’에도 “법광사는 신광현 비학산 아래에 있다. 세상에 전하길, 신라 진평왕이 원효로 하여금 시주를 모아 2층의 불전을 창건케 했는데 세속에서 금당이라 부르는 건물은 지금도 남아 있다”라고 기록돼 있다.
1799년에 간행된 전국사찰지인 ‘범우고’의 ‘경주조’에도 법광사는 비학산에 있다고 기록했다.
따라서 법광사는 18세기말내지 19세기 초까지는 법등이 이어졌으며 그 후 폐사된 것이다. 현지 주민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법광사의 폐사 시기는 19세기 후반이며 2층의 금당도 그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