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방문객수가 세월호 침몰 여파로 반 토막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5만여 명으로 사상 최다(누적 120만명)를 기록했던 독도방문객 수는 지난 4월 세월호 침몰 참사 후 여객선 안전에 대한 불신으로 대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박명재 국회의원실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다음 날인 지난 4월17일부터 8월3일까지 총 6만5280명이 독도를 찾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14만6174명보다 55.3%나 줄어든 수치다. 불과 세 달 사이 8만명 이상의 방문객이 줄어든 것이다. 독도 관람은 정부가 2005년 3월 일반인에 개방을 허용할 당시 1회 70명, 하루 140명으로 방문객 수가 제한됐으나 이후 하루 입도객 수의 제한이 점차 사라졌다. 방문객도 점차 늘어 2005년 4만1134명, 2008년 12만9910명, 2011년 17만9621명, 2012년 20만5778명, 2013년 25만5838명이 방문하며 정점을 찍었다. 올해 7월까지 8만 6188명이 방문해 누적 방문객은 132만여 명에 달한다. 사상최대 방문객을 기록했던 지난해 경우 여객선이 울릉도에서 하루 평균 5∼6차례 독도를 왕복할 정도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하지만 지난 4월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이후 제동이 걸렸다. 박명재 의원실은 “세월호 참사이후 여객선의 안전에 대한 불신이 커졌고, 수학여행이 중단되는 등 여행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어 독도 방문객 수가 급감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울릉도-독도 간 여객선 운항 횟수도 크게 줄어들었다. 4월17일부터 8월3일까지 여객선 운항 횟수는 211회로, 작년 같은 기간 438회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독도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박명재 국회의원은 ‘전 국민 독도 밟기 운동’을 주창했다. 지난 6월 11일 경북도당과 경북도청의 당정협의에서는 김관용 도지사에게 300만 경북도민 모두가 독도를 밟아 볼 수 있도록 예산 등의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방문객 수가 늘어나는 만큼 국민의 독도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독도 방문은 활성화 되어야 한다”며 “세월호 침몰의 여파로 독도가 국민들의 관심에서 멀어져서는 안 되며, 전 국민이 한 번 이상은 독도를 찾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