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7일 "통일은 한반도의 비정상을 극복하는 궁극의 길이며, 한민족의 아픔을 치유하는 근원적 처방"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1차 통일준비위원회(통준위) 회의를 통해 "내년이면 우린 분단 70주년을 맞는다. 이제 비정상적 분단 상황을 극복하고, 통일을 준비해 가야하는 막중한 과제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70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한반도 평화통일을 이뤄내는 게 지금 정부가 이뤄내야 하는 숙원사업이자 국민의 여망"이라면서 "우리가 추구하는 통일은 단순히 남과 북의 물리적 통합을 넘어 새로운 한반도의 미래를 설계하고 한민족의 대도약을 이끄는 성장 동력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분단 70년의 긴 역사에 적응하며 살아온 우리에게 통일시대로 가는 길은 어쩌면 낯설고 힘들고 불안한 길이 될 수도 있지만, 국민이 함께 지혜를 모으고 희망의 길을 개척해간다면 통일시대의 문이 분명히 열릴 것"이라면서 △통일 준비의 구체적 청사진 마련과 △국민이 공감하는 올바른 통일방향과 미래 모색, 그리고 △통일준비위를 범국민적 공론의 장(場)으로 만드는 것을 통일준비위의 역할로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통일은 갈라진 남북을 하나로 통합하는 일인데 그동안 우리 사회의 통일 논의가 통합을 저해하고 갈등과 분열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았다"면서 "앞으로 통일을 논의하는 과정 자체가 우리 사회를 통합시키는 촉매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통준위를 통해 우리 정치권도 지혜를 모으고, 국민적 통일 의지를 결집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한다면 정권교체와 상관없이 지속할 수 있는 통일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통준위가 국민의 통일 의지를 하나로 만드는 통합의 용광로가 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해 주실 것을 기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박 대통령의 발언은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을 통해 영속적인 통일 청사진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당부했다는 데 의미가 깊다.
통일전문가 그룹 일각에서 이번 통준위 민간위원 인선 과정에서 진보 진영의 통일전문가들이 다소 배제됐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진보와 보수 뿐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부문 전문가들이 균형있게 포진됐다는 게 전반적인 평가다.
이와 관련, 통일 전문가들은 향후 각 부문의 목소리를 얼마나 균형있게 충실히 담아낼 수 있느냐가 통준위 운영의 성공여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 대통령은 또한 "민생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면서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을 펼쳐가는 것은 통일을 이뤄가기 위해 가장 시급하고도 기초적인 준비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내륙철도와 남북 철도 연결과 같은 대규모 사회기반 시설과 함께 주거환경 개선이라든가 마을 도로 확충과 같은 민생 인프라 구축을 위해 남북한이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통일에 대해 우리 국민은 물론이고 주변국들도 막연하게 불안감을 가질 수가 있다"면서 "그러나 올바른 통일은 모두에게 큰 축복이 될 것이라는 분명한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우리가 꼭 해야 할 일이라고 본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독일 통일 없이는 유럽 통합도 불가능했듯이 동북아 평화와 새로운 유라시아 시대도 한반도 통일이 토대가 되어야 가능하다는 비전을 제시해서 한반도의 통일이 새로운 미래와 희망을 열어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해 달라"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또한 "단순한 통합을 넘어 남북한의 장단점을 융합해서 새로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지금부터 노력을 펼쳐나갔으면 한다"면서 "통일이라는 낯선 여정에 우리 통준위가 스마트하고 정확한 내비게이션이 되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분단 70년의 아픈 세월을 살아오면서 그동안 축적된 많은 통일정책이 있고, 수많은 아이디어와 정책 제안들도 있다. 그러나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란 말처럼 우리가 갖고 있는 다양한 정책과 아이디어를 현 상황에 맞게 잘 다듬고 엮어간다면 분명 통일의 그날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