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후판가격이 결정됨에 따른 국내 후판 3사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6일 철강업계는 국내 대형 조선사들이 최근 일본 JFE, 신일철 등과 톤당 770~780달러(FOB 기준) 수준에서 4분기 후판 가격협상을 마무리한 것으로 전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후판3사는 이번에 타결된 일본산 후판가격이 환율과 운임 등을 고려할 때 톤당 89~90만원 수준으로, 국내산보다 최대 6만원 가량 저렴해 이 가격이 국내시장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내 철강사의 후판 기준 판매가격은 톤당 111만원이지만, 실제 90만원 초ㆍ중반에서 유통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일본산 후판가격 결정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철강사 관계자는 “이번 4분기 일본산 후판가격이 국내조선사들의 가격인하 압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가격논리를 앞세운 조선사들의 과도한 인하압력으로 톤당 90만원의 국내산 후판가격 마지노선이 무너질 것을 경계했다.
또 “공급과잉, 경기침체 등을 주원인으로 후판 시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 뒤늦은 4분기 일본산 후판가격 협상으로 국내산 후판 시황이 더욱 악화될 것”을 우려했다.
한편 올 1분기 톤당 750달러 수준이던 조선사의 일본산 후판 수입 가격은 2분기 일본 대지진 및 국내 철강사의 가격인상으로 톤당 900달러 중반까지 급등했다가 3분기 글로벌 경기침체,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강신윤기자
max0709@ksmnews.co.kr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