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의원(군위군ㆍ의성군ㆍ청송군)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폭염으로 사망자가 2011년 6명에서 2012년 15명, 2013년 14명이다. 최근 3년간에는 35명이나 되었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열사병, 일사병, 열 실신, 열 경련 등 폭염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수가 2009년 1,482명에서 2013년 5,396명으로 최근 5년간 3배나 증가했다. 지난해 폭염환자 5,396명을 분석하면, 성별로는 남성이 2,869명(53%), 여성 2,527명(47%)이다.
지역별로는 대구 1,536명(28%), 전남 664명(12%), 경남 541명(10%), 전북 469명(8%)이다. 특히 최근 5년간 폭염환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80세 이상 노인층이었다. 2009년 29명, 2013년 242명이다. 최근 5년간 8.3배나 급증했다. 폭염에 취약한 어르신들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 같은 통계에서 포항시만의 현황은 잡히지가 않았다. 그러나 경북권에는 포항시의 것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포항시의 폭염환자 대책도 반드시 있어야겠다.
김재원 의원은 “폭염으로 인해 한해 15명 정도가 사망한다. 노인과 만성질환자, 야외근로자 및 어린이들이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 활동 대신 휴식을 취해야 한다. 물을 마시는 등 건강수칙을 지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대책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포항시도 위 같은 대책수립을 하고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포항시가 질병관리본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포항시만의 현황에 대한 자료부터 받아야 한다. 포항시가 자료에 근거한 통계에서 대책을 수립ㆍ시행해야 한다.
포항시는 보건당국 등 유관기관과 함께 발 빠른 대책이 없다면 폭염환자가 발생할 수가 있다. 지역별 현황파악에서 가장 잘 아는 곳은 동 주민센터이다. 우선 독거 어르신부터 찾아가면서, 맞춤형 폭염 대책ㆍ수행할 것을 당부한다. 한여름 더위가 시간을 재촉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