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5개 국회의원 지역구에서 치러지는 7·30 재보궐 선거는 역대 최대 규모 재보선 답게 가장 시끄러웠던 재보선으로 기록될 듯하다. 공천과정에서부터 선거운동 막판까지 이변과 갈등이 속출했다.
특히 `미니총선`이라고 불릴 만큼 선거 결과에 따라 정치 지형이 출렁거릴 수밖에 없어 공천을 둘러싼 당내 셈법도 복잡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사무실까지 마련하며 광주 광산을 출마를 준비하던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를 서울 동작을에 전략공천 하면서 내홍을 크게 겪었다.
당시 서울 동작을 출마를 준비하던 허동준 전 지역위원장이 `운동권 동지` 기동민 후보 출마선언 기자회견장에 난입하는 볼썽사나운 모습을 연출했다.
이후 새정치연합이 국가정보원의 댓글 의혹 수사 축소 의혹을 폭로했던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을 광주 광산을에 전략공천하자 새누리당은 `정치적 사후뇌물죄`라면서 연일 맹공을 퍼부었다.
새누리당은 공천과정에서 새정치연합에 비해 당내 잡음은 덜했지만 서울에서 유일하게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서울 동작을 지역에 추천할 마땅한 인물이 없어 애가 닳았다.
당초 새누리당은 김문수 전 경기지사에게 출마를 요청했지만 김 전 지사의 거절로 공천이 어려워지자 나경원 전 의원으로 급선회했다.
당초 경기 김포 출마를 저울질했던 나 전 의원은 당의 요청을 명분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해지만 결국 후보자 등록이 시작되기 하루 전인 지난 9일 당의 요청을 수락했다.
새누리당은 또 평택을에 공천을 신청한 임태희 후보에게 공천을 주지 않은 후 수원정(영통) 지역에 전략공천하는 이상한 모양새도 연출했다.
예측 불가능했던 `벼락치기` 공천으로 인해 나경원 후보, 권은희 후보 등 재보선 출마 후보 9명이 선거인 명부 작성 전 주소지를 옮기지 못했고 이로 인해 투표권 조차 행사할 수 없었다.
잇따라 불거진 후보들의 재산 신고 관련 의혹도 재보선의 주요 특징이었다.
새정치연합 광주 광산을 권은희 후보와 새누리당 수원병(팔달) 김용남 후보의 재산 축소 신고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네거티브와 고소고발로 이어졌다.
새누리당은 선거운동 초반 새정치연합의 기동민 후보와 권은희 후보 전략공천을 맹비난하는 한편 지역일꾼론을 앞세우면서 선거판을 유리하게 이끌어 가는 듯 했다.
전략공천 잡음으로 야당이 고전하던 판세는 기동민 후보가 사전투표 실시 전날인 24일 전격적으로 사퇴하고 노회찬 정의당 후보 지지를 선언하면서 요동치기 시작했다.
결국 수원정(영통)에 출마한 천호선 정의당 후보와 수원 병(팔달)에 출마한 이정미 정의당 후보까지 이날 잇달아 사퇴를 선언하고 새정치연합 박광온·손학규 후보 지지를 선언하면서 수도권 판세는 오리무중에 빠졌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