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지난 2월 통일준비위원회 발족을 발표한 후 준비해 왔지만 그동안 여러 가지 사정으로 많이 늦어졌다”면서 “내일(15일) 통일준비위원회 발표를 하고 적극적으로 활동을 시작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정부는 드레스덴 구상을 통해 밝힌 바와 같이 남북 간 인도적 문제 해결과 남북 공동 번영을 위한 민생인프라 구축,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사회교류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지금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통일준비위원회는 통일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분야별로 통일준비과제를 발굴ㆍ연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대통령 직속 기구로 지난 3월 박 대통령이 독일 드레스덴에서 제시한 ‘한반도 평화통일 구상’을 구체화할 기구로 주목을 받아왔다.
통일준비위원회는 당초 4월 중 출범할 예정이었지만 계속된 북한의 도발위기와 세월호 참사 등으로 출범이 지연돼왔다.
박 대통령은 이어 “앞으로 통일준비위원회 출범을 계기로 통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제고하고 통일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50명 이내의 정부 및 민간위원으로 구성되는 통일준비위원회는 박 대통령의 직접 위원장을 맡고 정부 및 민간 위원들 중에서 1명씩을 부위원장으로 지명할 예정이다.
민간출신 부위원장으로는 현재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중앙정보부 소속으로 1972년 7ㆍ4 남북공동성명의 실무작업을 담당했던 강인덕 전 통일부장관, 이인호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통일부 차관을 지낸 김석우 21세기 국가발전연구원 원장, 홍사덕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의장, 박세일 전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등이 언급되고 있다.
분과위원으로는 정부에선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 유관 부처 장관과 국가안보실 및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 관계자들이, 그리고 민간에선 통일 관련 국책연구기관장과 학계인사, 남북경협 전문가 등이 참여할 전망이다.
통일준비위 운영에 관한 주요 사항 결정과 분과위 업무 조율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획운영단을 설치하고, 여기에는 통일부 관계자들이 다수 참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최근 북한이 상호 비방 중지와 인천아시안게임 관련 실무회담을 제의해 오면서, 동시에 탄도미사일 발사와 같은 군사적 도발을 지속하는 양면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진정한 평화는 튼튼한 안보 토대 위에 이루어지는 것이고 국방이야말로 가장 기초적인 민생과제라고 할 수 있다”면서 “0.1%라도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있는 한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확고한 국방태세를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평화를 지키는 수준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평화를 만들어 나가면서 평화통일 기반을 구축하는 노력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