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두되고 있는 급격한 원화절상이 섬유업, 1차 금속업, 전기전자업 등 전반의 기업채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됐다.
DGB금융그룹 DGB경제연구소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급격한 원화절상이 지역 기업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환율 변동에 따른 기업 대처방안을 제시한 리포트를 발표했다.
2일 발표된 리포트는 최근 1년간 환율변동 추이와 그에 따른 원화절상 유발 배경, 향후 환율 전망에 따른 예측 시나리오, 원화절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뤘다.
먼저 환율 변동 추이를 살펴보면, 원/달러 환율은 2013년 6월26일 1,159.1원 기록 후 하락해 2014년 6월30일 기준 1,011.8원으로 최근 1년간 14.6% 절상됐다. 원/백엔 환율은 절상 폭이 더욱 큰데, 2012년 6월4일 1,509.9원 기록 후 하락해 2013년 6월25일 1,186.7원, 2014년 6월30일 기준 998.8원으로 최근 1년간 18.8% 절상됐다.
향후 환율전망은 급락하는 경우와 하락 후 상승하는 두 가지 시나리오로 분석해 제시했다.
급락 시나리오는 지난 2004~2005년과 비슷하게 전개되는 양상으로 2015년 들어 원/달러 환율이 950원 수준으로 낮아지는 상황이다.
하락 후 상승 시나리오는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신흥국 불안 요인 잔존 등으로 달러화가 다시 강세를 보일 수 있다는 점,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 2003~2004년 대비 기초자산과 외국인 투자자산 순매수 규모가 상대적으로 소폭인 점이다. 또 엔화의 실질실효환율이 역사상 최저 수준인 점, 3% 후반의 경제성장률 등을 감안한 것으로 원/달러 환율이 하반기에 1003~1010원 수준으로 하락한 후, 2015년에는 다시 1,020원 수준으로 회복되는 상황이다.
원화절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생산과 지역기업의 채산성으로 나눠 예측했다.
지역산업은 음식료업을 제외한 전반의 기업채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지역의 대종산업인 섬유업, 1차 금속업, 전기전자업의 기업채산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예측됐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