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미ㆍ일 3국 합참의장이 사상 처음 한 자리에 모여 북한 발 핵미사일 위협 등 지역 현안과 관련한 공조방안을 논의했다.
최윤희 합참의장과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 이와사키 시게루 일본 통합막료장은 2일 미국 하와이에 위치한 펜타곤 산하 아ㆍ태안보연구소(APCSS)에서 열린 회의 직후 발표한 공동보도문에서 "북핵ㆍ미사일 위협을 포함한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에 대해 논의하고 지역 안정과 평화 증진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한미일 3국 합참의장이 화상회의를 제외하고 실제 모여 회의를 갖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회의는 하와이 인근에서 개최되는 환태평양 합동군사훈련(림팩)을 계기로 뎀프시 합참의장이 초청하는 형식으로 성사됐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고노 담화 검증 결과를 발표하고 각의결정을 통해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공식화한 상황에 최 합참의장의 회의 참석이 적절했냐는 비판이 나온다. 군 당국도 이같은 비판을 의식해 이번 회의에서 군사정보공유 양해각서(MOU)나 회담 정례화 등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과 일본은 3국간 군사교류 확대의 일환으로 합참의장회의의 정례화를 주장하고 있으나 앞서 합참관계자는 "현 단계에서는 정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일본의 전향적인 역사인식의 변화에 따라서는 검토할 수는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