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은 충청도 지방 54개 고을의 1만여 개 한자 지명에 대한 순우리말 이름과 현재의 위치를 정리한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를 완간했다고 1일 밝혔다.
중앙도서관은 지난 2010년부터 고지도와 지리지에 기록된 한자표기 지명의 순우리말 이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지명연구 사업을 시작해 2010년 서울지명연구, 2011년 경기지명연구에 이어 충청지명연구를 내놨다.
충청지명연구는 1720년대 제작된 그림식 고을지도와 1789년 편찬된 ‘호구총수’에 있는 충청도 54개 고을의 1만여 한자 지명에 대한 순우리말 이름과 현재의 위치를 재정리했다.
또한 고지도와 지리지 속에 담긴 충청도 각 고을의 역사, 고을 중심지의 이동 과정, 도시의 구조와 상징 경관을 체계적으로 찾아내 쉽게 이해할 수 했다.
예를 들면 100여년 전까지 ‘아우내’라 부르던 지명을 한자로는 ‘竝川’(병천)이라 표기했다. 竝(병)과 川(천)은 ‘아우르다’와 ‘내’라는 한자의 뜻을 따서 표기한 것으로 병천이라 써놓고 ‘아우내’라고 읽었다.
하지만 지금은 모두 ‘병천’이라 읽게 되어 아우내면이 아니라 병천면으로 아우내순대가 아니라 병천순대로 부르게 된 것이라고 중앙도서관은 설명했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이 연구서를 통해 충청남도,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에 흩어져 있는 조선시대 충청도 옛 고을의 한자 표기지명에 대한 순우리말 이름이 다시 조명 받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에 완간된 충청지명연구와 서울지명연구, 경기지명연구는 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ww w.nl.go.kr/korcis) 자료실에서 볼 수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